Page 17 -
P. 17
더 만족스러운 삶이 됩니다. 좀더 예뻐지고 싶어 의학의 힘을 빌리는 것
또한 의료 서비스 소비죠. 더 예쁜 옷을 사는 것 역시 소비입니다. 불만족
스러운 상태를 만족스럽게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소비죠.
가계는 이처럼 소비를 통해 행복해집니다. 이 흐름대로라면 기업이 더
잘 생산할 때 인간이 더 행복해진다는 논리가 생깁니다. 내 맘에 드는 예
쁜 옷, 멋진 자동차, 편리한 휴대전화를 기업이 효율적으로 생산하면 나
는 그 상품을 소비하면서 더 나은 삶을 영위하게 됩니다. 즉, 가계가 더
행복해지는 거죠.
둘째, 국가 경쟁력입니다.
전 세계 국가를 한쪽에는 경제 규모 순으로 나열하고, 다른 한쪽에는
세계 1,000대 기업을 보유한 숫자대로 나열해본다면 아마 그 순서가 거
의 일치할 겁니다. 기업은 생산의 주체이기 때문에 국가의 경제 규모를
결정하고, 이것이 국가 경쟁력으로 연결됩니다.
저는 2000년대 초반, 처음으로 해외여행을 떠났습니다. 배낭에 필름카
메라와 필름 7통을 가지고 유럽으로 갔어요. 필름카메라와 디지털카메
라가 혼재하던 시기였습니다. 그런데 필름카메라 때문이었는지, 당시 꽤
많은 유럽인이 저를 약간 후진국 사람 취급을 하더군요. 그때만 해도 한
국인은 선진국 사람 앞에선 말발도 잘 서지 않았죠.
하지만 지금은 글로벌 무대에 나가 중요한 스피치를 합니다. 그럴 때면
사람들의 눈이 반짝여요. 경청하고 있다는 뜻이죠. ‘저 한국인이 무슨 말
을 하는지 자세히 들어보자’ 하고요. 이게 국가 경쟁력 아닐까요? 이른바
경제란 무엇인가?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