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P. 19
로서 이미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세금도 더 내야 하는 구조인 거죠.
규모 있는 기업이 많은 지역의 경제 여건을 보면 법인세의 역할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경제 규모가 가장 큰 지역 중 울산, 포항 같은 곳에 가보세요. 도시의
인프라 수준이 아주 번듯합니다. 기업이 내는 세금이 지방정부의 재정을
탄탄하게 하고, 부자 도시를 만드는 겁니다. 그 기업에서 일하는 근로자
들이 지역에서 소비를 하니 지역경제의 선순환이 이뤄집니다. 지역마다
‘기업 하기 좋은 도시’니 ‘기업 하기 안성맞춤’이니 하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기업 유치에 목숨 거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몇몇 산업이 구조조정을 하면서 그 산업이 집중
되어 있는 지역의 경제가 정말 말이 아닙니다. 기업이 경제에 얼마나 중
요한지를 반증하는 겁니다. 기업이 없다면 지방정부나 중앙정부의 재정
이 탄탄해질 수 없습니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입니다.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이라고 하지요. 기업은 이윤을 극대
화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축적한 부를 사회와 공유하는 역할도 수행
하고 있습니다.
혹시 야구 좋아하십니까? 기업이 야구단을 운영하면 이윤 차원에서 긍
정적일까요, 부정적일까요? 일반적으로 부정적입니다. 기업에는 코스트
센터 (Cost Center)가 되죠. 하지만 기업은 야구팀, 배구팀, 축구팀 등 스포
츠를 후원합니다. 이를 두고 메세나 (Mecenat)라는 표현을 씁니다. 기업이
경제란 무엇인가?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