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P. 19
런 요구가 통치자에게 도덕적 압박이 되기 때문이다. 상상해보라. 한
국가의 시민이 정부의 통치가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전혀 관심을 기울
이지 않고 정부가 하는 모든 일에 이견을 내지 않거나 묵묵히 받아들
이기만 한다면, 정부를 향한 시민들의 압박은 자연히 줄어들고, 권력이
부패할 기회가 자연스레 크게 늘어난다.
독재의 악은 독재가 정치를 우리 삶에서 소외시키고, 우리를 지배
하면서도 우리와 아무 상관 없는 외재적 존재로 만들어버림으로써 우
리 삶에서 공공성의 면모를 송두리째 앗아간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먹고 마시고 즐기며 생로병사를 겪지만, 이 세상은 우리에
게 속해 있지 않을뿐더러, 시시때때로 유형·무형의 권력의 지배를 받
는다. 시간이 흐를수록 우리는 아마 공공의 생활이 없는 인생은 불완
전한 인생이라는 것을 점점 잊을 것이다. 우리는 차츰 권력에 무관심
해지고, 고난에 무관심해지며, 악 그 자체에 무관심해진다. 하지만 이
는 제도가 가져온 악한 결과이지 인간이 응당 처해야 할 상태가 절대
아니다. 정치공동체의 평등한 일원으로서, 우리는 반드시 정치 바깥이
아닌 안에 있어야 한다. 이 궁지에서 벗어나려면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이 도덕적으로 진지해져야 하며, 냉소와 무관심에서 벗어나 공공 의제
에 맞고 틀림, 좋고 나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믿고 실천적 이성을 발
휘해 해답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이런 시대에 우리에게는 진지한
정치가 필요하다. 진지해질수록 공공생활 속에서 도덕이 차지하는 무
게와 힘을 확인할 수 있고, 우리 삶에 실재하는 선한 면모를 회복할 수
있다.
42 국가의 품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