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P. 22

추구는 우월성 추구보다 분명 더 믿을 만한 결정요인이다. 따라서 플로우
                      를 추구하는 것이 행복의 두 번째 습관이다.

                       플로우가 행복을 증진시키는 이유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플로우의 마지

                      막 특징을 살펴보자.






                                  ∷ 가용 능력과 필요 능력 일치시키기 ∷



                      어떤 사람과 테니스 시합을 하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상대가 당신보다 훨

                      씬 더 잘할 때 플로우를 경험할까, 아니면 훨씬 더 못할 때 경험할까?
                       칙센트미하이의 연구에 따르면 두 경우 모두 플로우를 경험할 가능성이

                      없다. 상대가 당신보다 훨씬 잘하면 당신은 불안해진다. 그리고 상대가 훨
                      씬 못하면 지루해진다. 칙센트미하이는 불안과 권태 사이의 적정 지점에

                      서 플로우가 생긴다고 말한다. 즉, 당신의 숙련도가 상대의 숙련도와 일
                                                        6
                      치할 때 플로우가 생길 가능성이 가장 높다.  사실 숙련도가 완벽히 일치
                      할 때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것이 플로우가 특히 흥미

                      로운 이유인데 플로우는 상대의 숙련도가 당신의 숙련도보다 아주 약간만
                      높을 때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예를 들어 당신은 미국테니스협회에서 중간 수준인 USTA 4.0 등급을

                      받은 테니스 선수다. 당신보다 수준이 ‘약간’ 높은 선수(4.5점이 아닌 4.1 정
                                                                        7
                      도의 선수)와 시합을 할 때 플로우를 경험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상대가
                      당신보다 조금 잘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보라. 이런 상대에게 이
                      기려면 현재의 기량만 발휘해서는 안 된다. 기량을 끌어올려야 한다. 다만

                      아주 많이 끌어올릴 필요는 없고, 그저 아주 조금만 끌어올리면 된다. 다




                      88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