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P. 20

신체적 통증 관리에 대한 연구 역시 고통의 강도가 고통

              이 일어나는 정황에 달려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동통 역치                   pain

              threshold , 즉 고통을 견디는 능력은 그 사람이 신체 치유 과정에서
              고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때 더 높아진다. 이는 심한

              우울증세가 있는 사람들의 동통 역치가 왜 그렇게 낮은지를 설

                      1
              명해준다.  사람은 자신에게 집중할수록 관점이 좁아진다. 관점
              이 좁아지면 그다음에는 정황을 파악하지 못하게 되고, 그 뒤에

              는 의미를 찾지 못하게 된다. 그에게 남는 것은 고통뿐이다. 삶
              자체가 어렵게만 느껴진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줄 선물을 사면 그 선물을 주고 싶어서,

              그것이 가져오는 즐거움을 확인하고 싶어서 안달을 하게 된다.

              우리는 아끼는 사람을 위해서, 우리가 믿는 대의를 위해서 피곤

              한 줄 모르고 일을 한다. 그때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오히려
              큰 즐거움을 경험한다. 우리의 초점이 보다 크고 의미 있는 목표

              에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어떻게 지났는지도 모르게 흘러가 버

              린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자신을 사랑하면 우리는 장기적인 만족

              과 행복을 위해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최소한의 고통을
              경험할 수 있다. 엄청난 에너지를 소모하더라도 걱정이 없다. 자






              80                                      Ⅱ부  어쩔 수 없는 분노란 없다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