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P. 20

인 결과 편지의 내용은 모두 사실로 판명되었다. 이로써 훅은 현재 ‘미

               생물’로 알려진 단세포생물의 발견이 인정을 받는 데도 일조했다.

                 17세기 이후로 현미경의 성능이 나날이 향상되었고 많은 과학자가
               이를 통해 동식물세포를 수없이 관찰했다. 사실 과학자들은 이보다 훨

               씬 오래전부터 살아 있는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가 있다고 믿었지

               만, 현미경 렌즈에 잡힌 세포가 그 주인공일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마침내 1824년 프랑스의 생물학자 앙리 뒤트로셰  Henri

               Dutrochet가 ‘세포가 생명체를 이루는 기본 요소’라고 말하면서 돌파구
               를 열었다. 그는 식물조직을 질산용액에 넣고 열을 가하면 세포들이

               뿔뿔이 흩어지는 모습을 포착했다.          1

                 현미경 발달에 더해 세포염색법이 개발되면서 과학자들은 세포를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애초에 빈방이라고 생각했던

               세포의 내부 구조가 훨씬 더 복잡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영국

               의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  Robert Brown은 1831년에 세포 안에서 상대

               적으로 큰 구조인 핵  nucleus을 발견했다. 그는 1827년에 현미경으로 물

               에 떠 있는 꽃가루를 관찰하다가, 꽃가루에서 나온 작은 입자가 물 위
               에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브라운운동  Brownian motion을 발견

               하기도 했다. 브라운운동은 액체나 기체 안에서 떠다니는 작은 입자의

               불규칙한 운동을 말한다.

                 그리고 1830년대가 지나가기 전에 두 명의 독일 과학자가 세포 연
               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마티아스 슐라이덴  Matthias Schleiden은

               당시 식물학 연구의 주류였던 식물의 종 분류 작업보다는 현미경으로






               20 | 생물학의 쓸모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