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P. 14

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 용어다) 우리 내면에 자리잡은

                거대한 수수께끼 중 우리가 알아낼 수 있는 건 극히 미미
                한 일부분이라는 사실과는 별개로, 우리가 스스로의 존재

                에 관해 의식적으로 갖는 감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타자’는 우리의 정신적 신화 속에서 타인의
                존재가 얼마나 거대해질 수 있는지 알리기 위해 대문자를

                사용하여 표현했다. 아이에게 타자로서의 부모는 어른에
                게 신만큼이나 무한히 큰 존재다. 모든 애정관계에는 독
                자성이 있으며 시간・장소・문화・가족 등의 특수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분명 사실이지만, 이들 용어를 사용하
                는 의도는 이와 별개로 애정관계의 보편적이며 원형적인
                역학 구도를 환기하기 위해서다.

                     또 이 책에서 ‘결혼marriage ’이라는 용어는 개인의 법
                적인 결합 형태가 아니라 성별이나 성적 지향과 무관하게

                두 사람이 서로에게 깊이 헌신하겠다는 약속의 의미로 사
                용하는 경우가 있다. 결혼을 맹세한다고 해서 무엇 하나
                확실하게 보장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결혼 맹세는 신실

                하고 오래가는 깊이 있는 관계를 맺겠다는 표현이다. 결
                혼이 내재적으로 요구하는 사항 중 하나는 문제가 생길

                경우 두 사람이 회피하지 말고 맞서서 함께 헤쳐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실하게 맺어진 두 마음 앞에
                장애물을 받아들이는”* 일은 없도록 하자.




                                                          들어가며  13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