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P. 19
는 것은 ‘자유’의 몸이 된다는 뜻이었다. 그냥 자유롭기만 한 게
아니라 ‘사업가’가 된다는 뜻이었다.
우버는 옥외 광고로만 메시지를 퍼트린 게 아니다. 제휴마케팅
프로그램도 개시했다. 기사가 지인을 기사로 영입하면 보통 200
달러 정도의 보너스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런 보너스 체계가
2
얼마 안 가 긱 경제의 다른 부문에서도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 보너스가 있기에 이 일에 더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었다.
보너스로 요금 외의 수익을 챙기는 동시에 남들에게 소규모 사업
가, 기술 업계의 일원으로 자신을 내세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우
버 입장에서는 쥐꼬리만 한 비용으로 열렬한 영업 인력을 확보하
는 셈이었다.
맘두 후세인 Mamdooh Husein 도 그렇게 우버 기사가 됐다.
Abe
어머니와 주변인들에게 ‘에이브 ’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그
는 스물여덟 살 때 웨이터로 일하던 식당에서 동료에게 우버 앱
에 대한 얘기를 들었다. 처음에는 회의적이었다. 그 자신이 거의
평생을 캔자스시티에서 살면서 단 한 번도 택시를 이용해본 적
이 없었기 때문이다. 택시 사업과 다를 바 없는 사업이 그 도시에
서 어떻게 통할 수 있다는 것인지, 친구가 주말에 그 일로 어떻게
500달러씩 번다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갔다. 두 눈으로 직접 확인
033
2장 교대근무도, 상사도, 제약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