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P. 10

1) 촉각과 감정의 유대감 또는 부족함을 삶 자체에

                    대한 것으로 현상학적으로 해석한다. 예측 가능하고 내
                    게 좋은가, 아니면 불확실하고 아프고 불안정한가? 이런
                    근원적 인식으로 아이는 신뢰 능력을 형성한다.

                        2) 부모의 특정 행동을 자신을 향한 것으로 생각하
                    고 마음속에 간직한다. 아이는 부모 내면에 있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경험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부모의 우울함이나 분노, 불안을 사실상 자신 때
                    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한다.  ‘엄마 아빠가 나를 보

                    거나 대하는 모습이 진정한 나’라고 결론짓는 것이다.
                    (37살 먹은 한 남자가 임종 직전의 아버지에게 물었다.
                    “왜 저를 살갑게 대하지 않으셨나요?” 그러자 아버지는

                    “네가 10살 때 화장실에 장난감을 떨어뜨리는 바람에 내
                    가 치우느라 얼마나 고생했는지 알기나 하냐?”로 시작

                    해 이런저런 사소한 옛날 일을 장황하게 늘어놓았다. 아
                    들은 비로소 자유로워져 병원을 나섰다. 늘 자격이 없어
                    서 사랑받지 못했다고 생각했는데 실은 아버지가 제정신

                    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제야 아들은 새로운 자아상을 가
                    질 수 있게 되었다.)
                        3) 삶과 씨름하는 부모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아이

                    는 행동 그 자체뿐 아니라 그 안에 감춰진 개인과 세계
                    에 대한 태도까지 내면화한다. 그로부터 아이는 세상을




                                                  1. 잠정 인격이 만들어지다  21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