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P. 13

박에 순응한 무의식이 수동공격(수동적인 태도로 상대방을 공

                격하는, 주로 약자가 사용하는 공격 방식–옮긴이) 저항으로
                반항에 실패한 결과에 지나지 않았다.
                    버림받은 경험이 있고 제대로 된 양육을 받지 못한

                아이는 의존적 방식을 ‘선택’하여 평생 동안 더 나은 타
                자를 중독된 것처럼 찾아 헤맬 수 있다. 한 여성 내담자
                는 어린 시절 관심을 받지 못한 채 자랐다고 말했다. 그

                탓에 성인이 된 후 애인을 끊임없이 갈아치웠지만 그 관
                계는 항상 실망과 좌절 속에 실패로 끝났다. 감정적 집착

                이 너무 심해 남성이 질려 떨어져나간 경우도 있고, 자
                신이 무의식적으로 남성과 거리를 둔 경우도 있었다. 여
                성의 아버지는 정서적으로 전혀 의지할 수 없는 사람이

                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여성은  ‘사랑을 받아본 적이
                없고 그럴 가치도 없는 사람’이라는 자기파괴적인 인식

                과 함께 다음에 만날 남자는 과거에 갖지 못했던 정상적
                인 아버지의 느낌을 갖게 해줄지 모른다는 씁쓸한 희망
                을 갖게 되었다. 이 같은 모순 속에서 그녀는 자신의 삶

                을 형성했다.
                    이런 상처와 내면아이에서 비롯된 다양한 무의식적
                반응들은 성인기의 성격을 결정하는 강력한 요소다. 아

                이는 자유롭게 나오는 성격을 구체화하기보다는 어린 시
                절의 경험을 토대로 세상에서 자신이 맡을 역할을 찾는




                24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