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버블이 심해도 주가가 폭락해도 아무도 당신을 말리지 않는다

                                      더욱 조심해야 할 것은 주가의 버블이 심할 때이다.

                                      “지금은 주가가 너무 올라 버블이 심합니다. 지금 투자하시면 손
                                      해를 볼 위험이 있으니 이 돈을 예금해 두셨다가 6개월 또는 1년

                                      후에 다시 찾아오십시오.”

                                      버블이 최고조에 달해 터지기 직전일 때조차도 금융기관의 투자
                                      상담사에게 이런 말은 결코 들을 수가 없다.




                                      실제로 1999~2000년 IT주 버블 때도, 2007년 하반기 한국의 시
                    알아두세요
                    과거 주가수익비율(PER)
                    추이를  알아보는  방법은    장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이 18배 올랐을 때도, 심지어 중국 상
                    27쪽 <잠깐만요>를 참조하   하이증시의 주가수익비율(PER)이 60배에 이르러 버블이 극에 달
                    세요.
                                      했을 때도 주식투자와 펀드가입을 말리는 금융기관은 없었다. 아
                                      니 오히려 더 많은 펀드를 모집하였고, 어떤 곳은 대규모 묻지마

                                      펀드까지 발매하였다.

                                      그리고 펀드가 손실이 나면 “펀드는 장기투자가 답이다”라는 말
                                      만 되풀이하였다.

                                      반대로 주가가 기업가치 이하로 폭락해 있던 때, 예를 들면 2008

                                      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로 주가가 폭락했을 때 펀드가입 시기
                                      를 물으면 은행창구에서는 “이자가 낮더라도 예금과 같은 안전자

                                      산에 투자하는 것이 제일이죠”라며 주식형펀드의 가입을 만류하

                                      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잘못이 반복해서 되풀이되는 이유는 증시 대세를 모르기



                                                                                            1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