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P. 6

는 부분이 바로 ‘결과를 심사숙고해보는 것’이다. 현재 가진 것
                    이상을 원할 때뿐만 아니라 우리가 원하는 모든 것에 대해서

                    그 대가가 무엇인지 잘 생각해봐야 한다는 뜻이다. 욕구에 충
                    실해야 한다는 이유로 이웃집 아내와 잠자리를 함께한다면 기

                    분이 어떻겠는가? 죄책감에 시달리는 것은 물론이고 그 뒤에
                    복잡다단한 사태가 닥치더라도 여전히 해볼 만한 일일까? “원

                    하는 것을 조심하라. 정말로 갖게 될지도 모르므로.” 에피쿠로
                    스의 사상은 이 오래된 금언에 날개를 달아준다.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욕구를 버리라는 이 고대 그리스
                    철학자의 충고는 오늘을 사는 많은 이에게 강한 울림으로 다가

                    온다. 언제나 더 많은 것, 더 많은 성취를 원하는 삶에서 단점을
                    보기 시작한 사람들에게 말이다. 그렇게 분투하는 삶의 가장

                    큰 문제점을 에피쿠로스는 이렇게 지적한다. 가장 최근에 무엇
                    을 원했든 간에 일단 그걸 얻고 나면 또 원할 게 생길 테고, 결

                    국 영원히 충족 불가능한 욕망의 덫에 빠져버린다. “새로 산 마
                    세라티 차가 멋지긴 하지만, 이제는 옆좌석에 앉아줄 금발의

                    키 큰 왕자님이 필요해.”
                      방심하면 누구나 이 덫에 빠지는데, 우리가 완벽주의를 숭배

                    하기 때문이다. 보통 우리는 완벽주의가 고결한 인성을 상징한
                    다고 믿으며, 아이들에게도 완벽주의자가 되라고 요구한다. 완

                    벽주의의 결과로 우리는 자신과 자신이 만드는 것 모두를 계속



                    16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