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P. 28

시스템을 가동한 후 시스템 사용자가 늘어나 리소스가 부족해지거나 저장 데이터가 증가하여 디
                    스크 용량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가동되고 3년 후 사용자 수가 300명에서 500명으로 증가한다고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시점에서 예측하고는 이를 바탕으로 계획을 세웠다고 합시다. 그러면 사전에 확장이 지
                                                                                                      2
                    원되는 장비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가동 중 리소스가 부족하더라도 급하게 도입 계획을 세워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기능 요구사항 등급에서 성능 및 확장성 요구사항은 ‘① 업무 처리량’, ‘② 성능 목표치’, ‘③ 리소

                    스 확장성’, ‘④ 성능 품질 보증’ 등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 ①~③에 대한 요구사
                    항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인프라 요구사항 정의와 비기능 요구사항(설계 이전 작업 II)



                    1. 업무 처리량

                    업무 처리량은 실제 업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양이나 온라인 배치 처리 건수 등
                    을 의미합니다. 업무 처리량이라고 하면 기능 요구사항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엄연한 비
                    기능 요구사항입니다. 따라서 업무 처리량과 향후 증가 예측치는 성능과 확장성을 장비 사양에 어
                    느 정도 반영해야 하는지 검토하는 데 필수적인 요구사항입니다.

                    업무 처리량을 예측하려면 다음 정보들을 예측하고 정의해야 합니다.

                    (1) 동시 사용자 수

                       특정 시점의 시간대에 시스템에 집중적으로 접속하는 사용자 수
                    (2) 데이터양

                       마스터 테이블, 트랜잭션 데이터와 로그 등 데이터양
                    (3) 온라인 요청 건수

                       단위 시간당 온라인 요청 건수
                    (4) 배치 처리 건수

                       단위 시간당 배치 처리 건수



                    2. 성능 목표치
                    성능 목표치는 실제 업무를 운영할 때의 성능 목표치입니다. 성능 목표치는 업무 처리량으로 구한

                    정보를 바탕으로 산정하는 요구사항 정의입니다. 특정 업무나 시스템을 운영할 때 예상되는 성능



                                                                                                  59





     인프라_07.indd   59                                                                       2020-12-09   오전 11:21:31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