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P. 30

2.3.3 비기능 요구사항 항목 3: 운영 및 유지보수성


                    운영 및 유지보수성에서는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가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스템 운영과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합니다.

                    운영 및 유지보수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2

                    (1) 운영
                       시스템을 가동한 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니터링 및 백업 등 정형적인 운

                       영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2) 유지보수                                                                          인프라 요구사항 정의와 비기능 요구사항(설계 이전 작업 II)

                       시스템에 변경을 가하는 작업입니다. 버그 수정이나 데이터베이스 튜닝, 장비 교체 등도 유지
                       보수 작업입니다.

                    이런 운영 및 유지보수의 요구사항 정의는 시스템 가동 후에 하는 일이라 검토를 미루기 쉽지만,
                    뒤로 미룰수록 다음 실패 사례가 발생합니다.



                      실패 사례
                      야간에 업무를 배치하는 처리 시간이 예상보다 더 많이 필요해서 야간 백업을 매일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
                      다. 그래서 매일이 아닌 한 달에 한 번만 백업을 진행했다. 이 때문에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복구 목표 시점
                      (RPO)은 24시간 이내가 아닌 1개월 이내로 변경되었고 데이터 손실 분량은 더 커져서 (이것에 영향받는) 리스크가
                      확대되는 것을 허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고 나서 수습하려면 너무 늦기에 운영 및 유지보수성도 요구사항 정의 단계에
                    서 제대로 정의해야 합니다.

                    또 운영 및 유지보수 요구사항을 정의할 때는 자동화 요구사항도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수행하는 백업 작업 등 정기적으로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자동화

                    하면 작업 누락이나 담당자의 휴먼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등 장점이 매우 많아집니다. 반면에 자동화를 구성하는 데는 초기 비용이 발생하므로 어떤 작업을
                    어느 범위에서 자동화할지 요구사항으로 정의해야 합니다.









                                                                                                  61





     인프라_07.indd   61                                                                       2020-12-09   오전 11:21:31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