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P. 25

6
               재해 대책은 BCP(Business  Continuity  Planning) 라고 하는 업무 연속성 계획과 DRP(Disaster
                             7
               Recovery Planning) 라는 재해 복구 계획 등의 방법으로 세웁니다.
                                                                        8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높은 수준으로 요구하는 경우 다른 곳에 백업 사이트 를 준비해야 하며, 서
               버도 이중화로 구성해야 하므로 비용에 영향을 많이 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최근 지진과 태풍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이전보다 재해 대책을 좀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림 2-10 주요 재해








                             지진                   수해                  화재



               4. 회복성

               회복성은 시스템 장애 등으로 업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백업 복구 방법이나 복구할 때까지
               의 대체 업무를 어느 범위에서 운영할지 정의합니다. 회복 방안을 어디까지 준비하느냐에 따라

               RPO(Recovery Point Objective)라는 목표 복구 시점과 RTO(Recovery Time Objective)라는 목표 복구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 수치가 달라집니다.

               RPO와 RTO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진                  수해                 화재
               (1) 목표 복구 시점(RPO)
                  어느 시점까지 데이터를 보장할 것인가요?

               (2) 목표 복구 시간(RTO)
                  업무를 복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가요?


               RPO와 RTO를 시간 순서대로 나타낸 예는 그림 2-11과 같습니다.








               6  시스템에 재해 등 리스크가 발생했을 때 중요한 업무를 지속시키고자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계획입니다.
               7  재해로 입은 피해나 손실을 복구하고자 사전에 준비해야 하는 사항이나 응급 대응 방법 등을 정해 놓은 계획입니다.
               8   역주 보통 재해 복구(DR) 시스템을 원격지에 구축한다는 의미는 재해가 발생해도 공간적으로 영향도가 적도록 멀리 떨어진 곳에 구축한다는
                 것입니다.

         56





     인프라_07.indd   56                                                                       2020-12-09   오전 11:21:31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