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P. 24

2. 내결함성
                           4
                                             5
                    내결함성 은 시스템 장애의 내성 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먼저 설명한 연속성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서버, 단말기,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 장비와 구성 요소(내장 디스크, 전원,
                    FAN 등)를 어느 수준에서 이중화할지, 데이터 백업, 복원 대상의 범위는 어디까지 할지 등을 검
                                                                                                      2
                    토합니다. 내결함성 결정은 비용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프로젝트 예산을 고려하여 범위
                    를 어디까지로 할지, 구성을 어떻게 할지 등을 확실히 검토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 2-9는 내결함성을 높이는 서버 장비의 이중화 예입니다. 서버를 이중화하면 액티

                    브(active)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standby) 서버에서 업무를 지속할 수 있으므로 서
                    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를 이중화하려면 서비스 업무 전환 용도의 소프트
                    웨어 도입이나 서버 자체를 2대 이상 준비해야 하므로 단일 구성에 비해서 비용이 2배 이상 필요                             인프라 요구사항 정의와 비기능 요구사항(설계 이전 작업 II)
                    합니다.


                       그림 2-9 서버 이중화

                                    액티브(active)    스탠바이(standby)

                                                              캐시
                                               하트비트





                                             데이터베이스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어느 수준까지 내구성을 갖출 것인지 충분히 검토해야 합니다.



                    3. 재해 대책
                    재해 대책은 그림 2-10과 같은 지진, 수해, 화재 등 대규모 재해가 발생했을 때 업무 연속성을 충

                    족시키는 요구사항으로, 유사시에 정보 시스템이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검토하거나 피해를 입더라
                    도 기업 활동을 정지하지 않을 수 있는 대안 등을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역주 내결함성이란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컴퓨터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능을 의미합니다.
                    5   역주 시스템 일부가 고장이 나도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항상 시스템 정상 작동을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55





     인프라_07.indd   55                                                                       2020-12-09   오전 11:21:30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