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P. 35

3.3.1 리만 적분 또는 정적분


                    앞의 과정을 수학적으로 나타내 보자. 한 폐구간 [a, b]를 작게 나누는데, 분할된 간격들이 갖는
                    최댓값의 극한이 0에 가까워질 때 (즉, 면적을 구하기 위한 사용한 직사각형의 너비가 아주 좁게
                    될때) 분할된 x의 간격에 상관없이 다음의 극한값이 존재하면 함수 f는 적분 가능(integrable)하다.                      3

                                     a    x    x    x      x     x   bx  ,   x    x
                                         0 n  1  2      n 1   n     i   i  i 1
                                             ( ) x , |
                                                                          x
                                                                   *
                                      lim    fx * i  i  | max{    x },  x    x ,
                                      ||   0                   i   i    i 1  i                        미분과 적분의 이해와 응용
                                          i   1
                    이렇게 구하게 되는 극한값을 f의 정적분 또는 리만(Riemann) 적분이라고 부르며 수식은 다음과
                    같다.

                                                      b
                                                      ∫  fx dx()
                                                      a
                    만약 함수 f(x)가 폐구간에서 연속이면 적분 가능하고, 또는 단조증가하면 그때도 적분이 가능하
                                                                                     2
                    다. 이러한 적분은 다음과 같이 파이썬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다. 앞에서 봤던 f(x)=3x +1을 적분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번에도 미분에서 사용했던 심파이의 integrate 함수를 사용해 적분해
                    보자.

                      >>> import sympy as sp
                      >>> x = sp.Symbol('x')
                      >>> sp.integrate(3.0*x**2+1, x)
                      1.0*x**3 + 1.0*x


                    또는 사이파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코드는 적분한 다음 x가 0~2일 때까지의 적분
                    한 값을 계산한 것이다. 결과를 보면 소숫점 밑에 숫자가 붙는데, 이는 사이파이에서 사용하는 알
                    고리즘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 import numpy as np
                      >>> from scipy.integrate import quad


                      >>> def f(x):
                      >>>     return 3.0*x**2 +1
                      >>> i = quad(f, 0, 2)
                      >>> print(i[0])
                      10.000000000000002



                                                                                                  119





     수학통계_06.indd   119                                                                      2020-08-13   오후 4:29:52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