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2025년 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27섹션 3필드
                1       소프트웨어 설계
                                                               5. 미들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WAS : 웹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미들웨어
                18섹션 3필드
                                                                 ②  ORB : 객체지향 미들웨어로 코바 표준 스펙을 구현한 미
               1.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는?                      들웨어
                 ① 메소드              ② 클래스                        ③  MOM : 온라인 트랜잭션 업무에서 트랜잭션을 처리 및
                 ③ 상속성              ④ 메시지                          감시하는 미들웨어
                                                                 ④  DB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연결
                전문가의 조언 |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를  클래스

                (Class)라고 합니다.                                     하기 위한 미들웨어
                                                                전 문가의 조언 | •MOM(메시지 지향 미들웨어)은 메시지 기반의 비동기형 메시

                                                                  지를 전달하는 방식의 미들웨어입니다.
                                                                •③번은 TP-Monitor(트랜잭션 처리 모니터)에 대한 설명입니다.
                23섹션 4필드
               2.  GoF(Gangs of Four) 디자인 패턴의 구조 패턴에 속하지 않
                 는 것은?
                 ① Composite        ② Observer
                                                                1섹션 5필드
                 ③ Adapter          ④ Decorator
                                                               6. 애자일(Agile)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문가의 조언 | 옵서버(Observer)는 행위 패턴입니다.
                                                                 ①  변화에 대한 대응보다는 자세한 계획을 중심으로 소프트
                                                                   웨어를 개발한다.
                                                                 ②  프로세스와 도구 중심이 아닌 개개인과의 상호 소통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
                17섹션 4필드                                         ③ 협상과 계약보다는 고객과의 협력을 중시한다.
               3.  파이프 필터 형태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 대한 설명으로                ④ 문서 중심이 아닌,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중시한다.
                 옳은 것은?                                         전문가의 조언 | 애자일(Agile)은 계획을 따르기 보다는 변화에 반응하는 것에 더

                 ①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된다.                               가치를 둡니다.
                 ②  서브시스템이 입력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다음
                   서브시스템으로 넘겨주는 과정을 반복한다.
                 ③ 계층 모델이라고도 한다.
                 ④ 3개의 서브시스템(모델, 뷰, 제어)으로 구성되어 있다.
                                                                1섹션 3필드
                전문가의 조언 | 파이프-필터 패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②번입니다.

                                                               7.  프로토타이핑 모형(Prototyping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
                                                                 지 않은 것은?
                                                                 ①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기 전에 의뢰자가 최종 결과물의
                                                                   일부 또는 모형을 볼 수 있다.
                1섹션 1필드
                                                                 ②  프로토타이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요구사항의
               4.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반영은 불가능하다.
                 ① 품질 높은 소프트웨어 상품 개발                             ③  프로토타입은 발주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 모
                 ② 지속적인 검증 시행                                      델을 제공한다.
                 ③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 유지                              ④ 프로토타입은 구현 단계의 구현 골격이 될 수 있다.
                 ④ 최대한 많은 인력 투입
                                                                전문가의 조언 | 프로토타이핑 모형은 새로운 요구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반

                전문가의 조언 | 인력은 최대한 많이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효율적으로      영한 프로토타입을 새롭게 만들면서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투입되어야 합니다.                                      요구사항의 반영이 가능합니다.
              4     2025년 3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2025. 9. 18.   오후 3:36
          3권별책_2026기본서필기_정보처리기사_기출1-3회(001~062)_ej1.indd   4                  2025. 9. 18.   오후 3:36
          3권별책_2026기본서필기_정보처리기사_기출1-3회(001~062)_ej1.indd   4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