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P. 9

에 내용 이해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돕는 것이고, 보충지도는 학기 말에 학업 성취율이 40% 미만인

                    학생들에게 추가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여 주체적으로 진로를 설계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나, 당장 선택의 기로에 놓인 학생들에게는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
                    니다. 이 책은 학생들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대학 학과와 진로 정보, 각 학과와

                    연계된 선택과목들을 정리해놓아 자신의 흥미와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과목 선택이 곧 진로 설계의 출발점이 된 고교학점제 시대, 이 책을 통해 자신감 있는 결정을 해보
                    기를 추천합니다.


                    [고교학점제 요약]

                    ■  고교학점제 의미: 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이수기준에 도
                      달한 과목의 학점을 취득·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  교육과정 변화: 2025년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  졸업 요건 변화: 기존에는 과목별 별도 이수기준 없이 각 학년 수업일수의 2/3 이상 출석 시 졸업 -> 3년간 최소

                      192학점 이상 취득 시(각 과목별 이수기준에 도달해야 학점 취득 가능) 졸업
                    ■  과목별 이수기준 적용: 과목 출석률 2/3 이상 + 학업 성취율 40% 이상
                       이수기준 충족 시 학점을 취득하며, 미충족 시 보충지도를 통해 학점 취득 지원(학생들의 정상적인 이수를 돕기
                      위해 수업 운영 중 최소 성취수준 보장 예방지도 진행, 이수기준 미도달 시 최소 성취수준 보장 보충지도 진행)

                      ※  법령상 학년 진급 요건은 현행 유지(각 학년 수업일수의 2/3 이상 출석하면 진급)
                    ■  최소 성취수준 보장: 최소 성취수준이란 교육 목표에 따라 학습이 끝났을 때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성취해야 할
                      지식, 이해 등이 최소한으로 도달한 정도를 의미. 과목 출석률이 2/3 미만이거나, 학업 성취율이 40% 미만일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