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P. 29
마무리
1. 데이터
① 데이터는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하며, 문자, 숫자, 소리,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이진수(0과 1)로 표현합니다.
② 데이터의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트(bit):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 0과 1이라는 두 상태만 가짐
• 니블(nibble): 4비트로 구성, 16가지 상태(2⁴) 표현
8
• 바이트(byte): 데이터 저장과 전송의 기본 단위, 8비트로 구성, 256가지 상태(2 ) 표현
③ 데이터는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치 데이터와 비수치 데이터로 구분합
니다.
• 수치 데이터: 숫자로 표현, 산술 연산 가능, 정수와 실수로 나뉨
• 비수치 데이터: 숫자로 표현되지 않음, 산술 연산이 불가능
2. 데이터의 표현 방법
① 컴퓨터는 사람이 이해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이진 코드로 변환해 처리합니다.
② 컴퓨터는 이진수(0과 1)를 사용하고, 사람은 주로 십진수(0~9)를 사용합니다. 십육진수
(0~9 + A~F)도 데이터를 표현하거나 메모리 주소를 표시하는 데 자주 사용합니다.
③ 십진수 → n진수 변환
• 정수 부분: 몫이 0이 될 때까지 n으로 나누고, 나머지를 거꾸로 작성
• 소수 부분: 0이 될 때까지 n을 곱하고 정수 부분을 순서대로 작성
④ n진수 → 십진수 변환: 각 자리의 숫자에 기수(n)의 거듭제곱을 곱한 후 모두 더합니다.
⑤ 십육진수 변환: 이진수를 4비트씩 묶어 십육진수로 변환합니다.
⑥ 이진수는 아래첨자( 예 10 ) 또는 접두사( 예 0b10)를 사용해 표기할 수 있습니다.
(2)
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