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P. 27
1. 부호와 절댓값
부호와 절댓값(sign–magnitude) 방식은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를 부호 비트로 사용
하고, 나머지 비트에 절댓값의 이진수를 넣는 방법입니다. 부호 비트가 0이면 양수를, 1이면 음
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5와 25를 8비트 이진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림 2-3 부호와 절댓값으로 정수 표현
0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부호 비트 절댓값 비트 부호 비트 절댓값 비트
(양수) (25) (음수) (25)
이 방식은 직관적이지만, 0을 두 가지로 표현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0과 -0이 존재합
니다.
2. 1의 보수
1의 보수(one’s complement)는 양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켜 음수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0은
1로, 1은 0으로 바뀝니다. 이 방법에서도 최상위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25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그림 2-4 1의 보수로 음수 표현
0 0 0 1 1 0 0 1
1의 보수
1 1 1 0 0 1 1 0
부호 비트
1의 보수 방식도 +0과 -0이 존재하며, 연산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림 2-5 +0과 -0이 동시에 존재하는 문제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부호와 절댓값 1의 보수
0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