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P. 24

2.2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                                                                     2장 데이터와 명령어











                          사람은 문자나 숫자 등으로 데이터를 표현하지만 컴퓨터는 오직 이진수만 사용합니다. 그래
                          서 사람이 이해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컴퓨터 내부에서는 0과 1로 구성된 이진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 사용합니다. 이 절에서는 이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즉, 컴퓨터에서 데이
                          터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2.1 이진수와 십육진수

                          이진수는 이진법으로 나타낸 수를 의미하며, 이진법은 0과 1만 사용해 숫자를 표기하는 방법입

                          니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이진법을 사용하고, 사람은 일상에서 십진법을 사용합니다.
                          각 진법은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기본 수, 즉 기수에 기반합니다. 기수는 각 자릿수가 나
                          타내는 값의 기준으로, 진법에 사용되는 숫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이진수는 0, 1로 이루어져

                          기수가 2이고, 십진수는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를 사용하므로 기수가 10입니다.

                          각 진법의 수는 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려면 변환 방법
                          을 알아야 합니다.

                          십진수를 n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수 부분: 몫이 0이 될 때까지 기수(n)로 나눈 나머지를 거꾸로 적습니다.

                             • 소수 부분: 0이 될 때까지 각 진법의 기수를 곱해 나온 정수를 순서대로 적습니다.

                          반대로, n진수를 십진수로 변환할 때는 각 자릿수에 해당하는 기수(n)의 거듭제곱 값을 곱한 후
                          모두 더합니다.


                                                                                                    039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