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P. 4
기적특강 공부법
개념특강
개념특강 연습문제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로 내 것으로 만들자!
개념을 이해하고,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분수의 탄생
분수의 탄생
2
3 단계
10년 수학을 책임지는 11 2 전체가 여러 개인 분수 1 분수의 탄생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3 단계 ‘등분’의 뜻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8 5등분 3 단계 8 5등분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10년 수학을 책임지는
2
2등분
5등분
5등분
7
분모가 같은 분수의 크기 비교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2등분
7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등분’은 ‘똑같이 나눈다는 뜻의
2 단계
1 단계
1 단계
3 단계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한자어예요. 등분하는 방법은 다
‘등분’의 뜻
개념 기반 수학 공부법
개념 기반 수학 공부 원리를 1 5 을 3과 4는 딱 보면 4가 더 큰 걸 아는데, 분수는 어떻게 크기를 비교할까요? ‘똑같이 나누기’의 뜻 원리를 4 6 연속량 분수띠 2 단계 1 단계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4 6 2 2 단계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양하기 때문에 답이 꼭 한 가지만 ‘등분’의 뜻 2등분 7 5등분 8 5등분 2등분 7 5등분 8 5등분
있는 것은 아니에요.
원리 이해
‘똑같이 나누기’의 뜻
4
등분’은 ‘똑같이 나눈다는 뜻의
1
3과 4는 딱 보면 4가 더 큰 걸 아는데, 분수는 어떻게 크기를 비교할까요?
연속량 분수띠
10의
연속량 분수띠
‘분모가 같다’는 2가지 뜻이 있습
을 쉽게 나타낼 수 있는데, 전체가 점점 많아
전체가 1개이면 그림을 그려서
‘등분’의 뜻
6
5
나눈 조각들의 ‘모양’과 ‘크기’가
나눈 조각들의 ‘모양’과 ‘크기’가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 비교는 초등 5학년이 되어야 배울 정도로 좀 어렵지만,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 비교는 초등 5학년이 되어야 배울 정도로 좀 어렵지만,
등분’은 ‘똑같이 나눈다는 뜻의
이해하자
이해하자
주어진 분수만큼 색칠하고 두 분수의 크기를 비교하세요.
니다.
한자어예요. 등분하는 방법은 다
모두 같아야 해요.
모두 같아야 해요.
한자어예요. 등분하는 방법은 다
구하는 방법
지면 어떻게 할까요? 전체가 2개, 200개, 2000000개…
➊ 도형에서는 나눈 조각 수가 같
2
분모가 같은 분수는 엄청 쉬워요. 당장 알아봅시다!
분모가 같은 분수는 엄청 쉬워요. 당장 알아봅시다!
는 뜻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조각 2 단계
연속량 분수띠
4
연속량 분수띠
기 때문에 한 조각의 크기가 같다
원리를
있는 것은 아니에요.
6
으악!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식으로 구하는 방법을 찾아야겠어요. 3과 4는 딱 보면 4가 더 큰 걸 아는데, 분수는 어떻게 크기를 비교할까요? 원리 이해 ‘똑같이 나누기’의 뜻 4 2 6 연속량 분수띠 연속량 분수띠 6 원리 이해 4 연속량 분수띠 양하기 때문에 답이 꼭 한 가지만 양하기 때문에 답이 꼭 한 가지만 등분’은 ‘똑같이 나눈다는 뜻의
한자어예요. 등분하는 방법은 다
있는 것은 아니에요.
수만 비교하면 크기를 알 수 있습
이해하자 분모가 다른 분수의 크기 비교는 초등 5학년이 되어야 배울 정도로 좀 어렵지만, ‘분모가 같다’는 2가지 뜻이 있습 나눈 조각들의 ‘모양’과 ‘크기’가 연속량 분수띠 6 니다. ‘분모가 같다’는 2가지 뜻이 있습 6 2 2 9 2등분 10 5등분 11 5등분 양하기 때문에 답이 꼭 한 가지만
니다.
모두 같아야 해요.
3
3
6
기 때문에 한 조각의 크기가 같다 4
➋ 분모가 같으면 같은 분모의 단
도형으로
1
2
4
➊ 도형에서는 나눈 조각 수가 같
도형으로
안녕하세요? 기특이 여러분, 원리 이해 5 4 3 5 < 분모가 같은 분수는 엄청 쉬워요. 당장 알아봅시다! 개인 수 4 6 2 6 1 6 이 개인 수 니다. 3 5 < 4 5 6 1 이 2 위분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원리 이해 1 1 이 이 개인 수 6 6 4 이 연속량 분수띠 있는 것은 아니에요.
1
5
연속량 분수띠 개인 수
개인 수
4
원리 이해
6
이
6 6
는 뜻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조각 6
안녕하세요? 기특이 여러분,
6
6
6
단위분수의
개인 수 개수만 비교하면 됩
5
4
수만 비교하면 크기를 알 수 있습
5 5 ➊ 도형에서는 나눈 조각 수가 같 2 연속량 분수띠 6 니다. 연속량 분수띠 ‘분모가 같다’는 2가지 뜻이 있습 6 9 2등분 10 5등분 11 5등분
니다.
니다.
기 때문에 한 조각의 크기가 같다
함께 공부할 기적쌤이에요. 색칠한 부분이 10의 1 5 10을 5등분 한 것 10 ÷ 5 색칠한 부분이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는 뜻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조각 6 ➊ 도형에서는 나눈 조각 수가 같 1 6 이 2 개인 수 연속량 분수띠 2 6 1 6 이 개인 수
4
➋ 분모가 같으면 같은 분모의 단
함께 공부할 기적쌤이에요.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위분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6
단위분수의 개수만 비교하면 됩
중의 1
4
니다.
더 큰 것은?
5 3 은 3칸, 4 5 는 4칸을 색칠했으니 4 5 가 더 커요. 3 1 더 큰 것은? 3 5 은 3칸, 4 5 는 4칸을 색칠했으니 4 5 가 더 커요. 수만 비교하면 크기를 알 수 있습 1 1 4 기 때문에 한 조각의 크기가 같다 2 4 2 6 9 2등분 10 5등분 11 5등분
도형으로
2
니다.
4
는 뜻입니다. 따라서 색칠한 조각
2
4
4
수만 비교하면 크기를 알 수 있습
원리 이해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어요. 바로 ‘수 3 “와~ 분수를 나눗셈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5 3 1 6 3 1 5 6 < 1 5 4 ➋ 분모가 같으면 같은 분모의 단 1 이 개인 수 6 이 6 개인 수 6 6 1 이 개인 수 6 6 6 1 이 개인 수 판다와 토끼가 똑같은 모양과 크기로 땅을 나누어 가지려고 해요. 9 2등분 10 5등분 11 5등분
니다. 2
6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있어요. 바로
위분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4
“맞아. 앞에서 분수의 이름에는 ‘나눌 분(分)’의 뜻이 있다고 했지? 4
1
6
1
1
6
단위분수로
3
1
4
원리 이해
원리 이해 5 5 5 5 3 < 4 5 5 단위분수로 5 5 5 5 단위분수의 개수만 비교하면 됩 6 6 ➋ 분모가 같으면 같은 분모의 단 1 4 2 4 4 단계 2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점선을 따라 선을 그어 보세요.
<
학 잘하는 사람’과 ‘수학 못하는 사람’이죠. 4 5 “ 어? 컴퓨터 자판에서 나눗셈을 ‘÷ ’ 대신 ‘/ ’로 나타내기도 해요. 2 4 5 5 1 1 5 1 5 1 5 니다. 5 5 2 위분수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4 2 6 이 6 개인 수 6 6 창의사고 6 12 6 이 개인 수 판다와 토끼가 똑같은 모양과 크기로 땅을 나누어 가지려고 해요.
그러니 나눗셈과 사촌지간이라고 할 수 있지.”
5
1
1
1
1
‘수학 잘하는 사람’과 ‘수학 못하는 사람’이
5
5
5
5
단위분수의 개수만 비교하면 됩
5
주어진 조건에서 문제해결의 힌
2
4
4 단계
뭔가 엄청난 발견을 한 기분이에요! ”
수학 못하는 사람은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 더 많은 것은?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색칠한 부분이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1 4 6 니다. 2 6 6 5 6 트를 만들 수 있어요. 창의사고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점선을 따라 선을 그어 보세요.
힌트를 주자면, 땅 8칸을 똑같이
단위분수가
단위분수가
6
1
61
4
4
3
3
죠. 수학 못하는 사람은 아무리 열심히 공부
4
1
1
4
둘로 나누면 몇 칸씩 가져야 할까
더 많은 것은?
은
4
5 3개,
는
이 4개이니까
5 3개,
4
이 4개이니까
은
가 더 커요.
가 더 커요.
3
는
더 큰 것은?
5
는 4칸을 색칠했으니
은 3칸,
5
5
5
5
5
요?
가 더 커요.
5
5
12
주어진 조건에서 문제해결의 힌
도 점수가 안 올라요. 이유는? 바로 공부 방 핵·심·정·리 5 5 핵·심·정·리 5 4 4 2 4 2 4 4 6 2 6 트를 만들 수 있어요.
핵·심·정·리
힌트를 주자면, 땅 8칸을 똑같이
해도 점수가 안 올라요. 이유는? 바로 공부
둘로 나누면 몇 칸씩 가져야 할까
전체가 여러 개일 때의 단위분수는? ➜ 분모로 나눈다! 3 크기 비교 방법 4 분모가 같은 분수는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3 4 2 6 6 6 4 2 요?
분모가 같은 분수는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크기 비교 방법
2
법이 잘못됐기 때문이죠. ➊ 분모가 같은지 확인 1 ➋ 분자끼리 비교 10 ÷ ➌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3 1 1 1 ➊ 분모가 같은지 확인 6 ➋ 분자끼리 비교 ➌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6 6 6 6 6 6 4 2
방법이 잘못됐기 때문이죠.
6
식으로 계산
10 의
3 <
5
4
3
5 = 4 5 5 3 < 단위분수로 3 5 < 4 5 5 5 5 3 5 = 4 5 5 4 5 3 5 < 4 5 6 6 6 판다와 토끼가 똑같은 모양과 크기로 땅을 나누어 가지려고 해요.
5
5
원리 이해 5 3 < 4 4 2 4 단계
그렇다면 어떻게 공부해야 ‘수학 잘하는 사 48 4 4 5 5 1 1 5 1 5 4 5 1 5 5 5 2 6 5 6 6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점선을 따라 선을 그어 보세요. 판다와 토끼가 똑같은 모양과 크기로 땅을 나누어 가지려고 해요.
그렇다면 어떻게 공부해야 ‘수학 잘하는 사
4 단계
7
람’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의 개념은 학년 두 분수는 분모가 같으니까 한 조각의 크기가 같아요. 5 4 2 창의사고 12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점선을 따라 선을 그어 보세요.
람’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의 개념은 학년
주어진 조건에서 문제해결의 힌
단위분수가 3 1 4 1 4 4 2 6 6 6 5 트를 만들 수 있어요. 창의사고 7 12
이 올라갈수록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면이 더 많은 것은? 5 은 5 3개, 5 는 5 이 4개이니까 5 가 더 커요. 6 6 힌트를 주자면, 땅 8칸을 똑같이 주어진 조건에서 문제해결의 힌
4
이 올라갈수록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면이
2
트를 만들 수 있어요.
둘로 나누면 몇 칸씩 가져야 할까
요? 6 6 힌트를 주자면, 땅 8칸을 똑같이
강해져요. 따라서 개념 기반의 추상적이고 핵·심·정·리 둘로 나누면 몇 칸씩 가져야 할까
강해져요. 따라서 추상적이고 논리적인 사
요?
논리적인 사고법으로 공부하는 사람이 ‘수 개념특강은? 크기 비교 방법 분모가 같은 분수는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6 3
개념특강은?
고법으로 개념 기반의 공부를 하는 사람이
2
4
학 잘하는 사람’이 되는 거예요. 바른 먹거리를 먹어야 몸에 좋은 영양분 ➋ 분자끼리 비교 ➌ 분자가 큰 분수가 더 크다 4 2 연습문제는?
바른 먹거리를 먹어야 몸에 좋은 영양분
➊ 분모가 같은지 확인
‘수학 잘하는 사람’이 되는 거예요.
6
6
6
3
4
4
2
이 흡수됩니다. 빠르지만 건강을 해치는
이 흡수됩니다. 빠르지만 건강을 해치는 3 < 4 5 3 < 4 6 6 특강으로 섭취한 바른 개념을 문제를 통해서 100% 소화하는 과정입니다.
5 =
5
5
5
5
개념 기반의 수학 공부법을 지금 장착하면 인스턴트 개념이 아닌 느려도 몸에 좋은 ‘1단계-원리이해, 2단계-원리적용, 3단계- 원리활용‘처럼 계단식으로 설계된
6
6
개념 기반의 수학 공부법을 지금 장착하면
인스턴트 개념이 아닌 느려도 몸에 좋은
앞으로 10년의 수학 점수는 문제없어요. 그 바른 개념을 담았습니다. 문제를 풀다 보면 개념 흡수율이 30% 70%, 100%에 도달하게 됩니다.
바른 개념을 담았습니다.
앞으로 10년의 수학 점수는 문제없어요.
4
5
러니 우리 기특이들은 귀찮다는 핑계로 개 6 7
그러니 우리 기특이들은 귀찮다는 핑계로
6 7
념은 대충 읽고 문제부터 풀려고 덤비기 없 1. 개념을 이해하며 읽자! 1. 기계적으로 답만 구하지 말고, 생각하며 풀자!
개념은 대충 읽고 문제부터 풀려고 덤비기
1. 개념을 이해하며 읽자!
기예요? 약속!
없기예요? 약속!
2. 핵심정리는 꼭 외우자! 2. 앞에서 배운 개념을 떠올리며 문제와 연결하자!
2. 핵심정리는 꼭 외우자!
4
기적특강(분수개념)001-027_1.indd 4 24. 11. 26. 오전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