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P. 15
:: 유네스코 지정 우리나라 세계유산 ::
04 창덕궁(1997년) 05 수원 화성(1997년)
경복궁에 이어 조선 왕실이 두 번째로 지은 궁궐로 가 조선시대 성곽 수원 화성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
장 한국적이며 전통적인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곳입니 의 묘를 옮기며 여러 목적을 갖고 건설하려 했던 신도
다. 임진왜란 후 경복궁보다 먼저 중건돼 조선 중기 이 시를 지키기 위해 조성한 곳입니다. 동서양의 새로운
후 약 250년 동안 왕실의 정궁 역할을 했습니다. 평탄 과학기술과 지식을 활용해 불과 2년 반에 걸친 공사
하지 않은 언덕 지형을 이용해 남쪽에는 궁궐을, 북쪽 기간에 높이 4~6m의 성벽이 5.74km에 걸쳐 이어지
에는 후원을 조성한 창덕궁은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 는 장대한 성과 부대시설을 완공한 것도 매우 놀랍습
루는 모습이 아름다운 공간입니다. ※ 창덕궁 p330 니다. ※ 수원 화성 p342
▲ 대릉원 ▲ 강화 고인돌
경주 역사 유적 지구 고창·화순·강화
06 (2000년) 07 고인돌 유적(2000년)
7~10세기 신라의 뛰어난 문화 유적이 집중적으로 분 선사시대의 거석기념물인 고인돌은 전 세계에서도 우
포된 곳입니다. 탑, 궁궐지, 왕릉, 산성, 절터 등을 통 리나라에 집중 분포되어 있습니다. 특히 강화, 고창,
해 당시의 탁월한 예술 감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고분 화순에는 수백 기 이상의 고인돌이 밀집되어 있고 보
군이 모여 있는 대릉원 지구, 불교 사찰 지역인 황룡사 존 상태도 매우 뛰어나 세계적인 선사시대 유적지이
지구, 옛 왕궁 터인 월성 지구, 산성이 있는 산성 지구, 기도 합니다. ※ 강화 고인돌 유적 p044
산 전체에 불교 유적을 품은 남산 지구 등 총 5개 지역
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경주 p124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