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12     산사,                ▲ 부석사     13     한국의 서원            ▲ 병산서원
                     한국의 산지 승원(2018년)
                                                         (2019년)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으로 도시 사찰은 많이 없어졌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지은 성리학의 교육 시설 중 하
              지만 산속에 세운 산지형 사찰 중에는 유지된 경우가        나로 특히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 걸쳐 사림
              많았습니다. 한국의 산지형 불교 사찰을 대표하는 7        이 건립한 것입니다. 소수서원, 남계서원, 독산서원,
              개의 사찰(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암사, 대흥사)이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돈암서원 등 전국에 위치한 9개의 서원이 함께 지정
              ※ 부석사 p213                          되어 있습니다.  ※ 소수서원 p380



















                     유네스코가       ①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TIP
               TIP
                     지정한 우리      ② ​무형문화유산 : 가곡(국악 관현 반주로 부르는 서정적 노래), 강강술래, 강릉단오제, 김장을 담
                     나라와 북한의      그고 나누는 문화, 남사당놀이, 농악, 대목장(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매사냥, 아리랑, 연등회,
                     자연유산,        영산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제주 해녀 문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줄다리기, 줄타기,
                                  처용무, 택견, 판소리, 한산 모시 짜기
                     무형문화유산,
                                 ③ ​세계기록유산 :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록물, KBS 특별 생방송 〈이산
                     세계기록유산       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난중일기》, 《동의보감》,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승정원일기》,
                     에는 어떤 것      《일성록》, 《조선왕조실록》, 《훈민정음》 (해례본),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국채보상운동 기록
                     이 있는지도       물, 새마을운동 기록물, 조선 왕실 어보와 어책, 조선왕조 의궤,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한국
                     알아볼까요?       의 유교책판
                                 ④ ​북한 보유 세계유산 : 개성의 역사 기념물과 유적, 고구려 고분군, 김치 담그기 전통, 아리랑
                                  (무형문화유산), 《무예도보통지》(기록유산)


                                                                              545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