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P. 7

던 행동으로 말미암아 그 순간 내담자는 자신의 상황을

            매우 명확히 깨달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그 모습을 보
            며 웃을 수 있게 되었다.

                 조류학 이론가를 자처하는 여러 사람이 홍관조의 행
            동에 관한 가설을 내놓았다. 공격성이 매우 강한 성격이
            라 유리창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서는 다른 홍관조인

            줄 알고 공격하려 한 것이라 말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이
            새는 자기 짝을 잃어버린 상태였으며 유리창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고 잃어버렸던 짝을 찾았다고 생각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사람도 있었다. 사실이든 아니든 나로서는 뒤의
            설명이 더 그럴듯하게 느껴진다. 채울 수 없는 갈망을 지
            닌 채 새는 환희에 가득 차 자신의 짝을 향해 날아가고 또

            날아가지만, 남는 것은 창에 부딪힐 때마다 느끼는 충격
            뿐이다. 나는 실제로 이 새의 짝과 그들의 새끼들을 2년쯤

            전에 목격한 적이 있지만, 이제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창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자기 짝이라고 생각한다는 이론
            에 나는 더욱 마음이 끌린다. 사실이라면 너무 가슴 아픈

            일이다. 우리의 모습이 이와 똑같지 않은가.
                 분명히 이 새는 행동수정 기법 behavioral modification *이




            * 심리학, 체육학, 임상적 상황 등에서 증상을 좀 더 안정화하고 행동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각종 기법. 조건화, 혐오 치료, 이완화



            6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