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P. 12

고조선                                           1.  밑줄 그은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누선장군 양복이 병사 7천 명을 거느리고 먼저 왕검성에
                                                                      이르렀다. 이 나라의 우거왕이 성을 지키고 있다가 양복의 군
                                                                      사가 적음을 알고 곧 성을 나와 공격하자, 양복의 군사가 패
                                                                      배하여 흩어져 달아났다. 한편 좌장군 순체는 패수서군을 공
                                                                      격하였지만 이를 깨뜨리고 나아가지 못하였다. 한 무제는 두
                                                                      장군이 이롭지 못하다 생각하고, 이에 위산으로 하여금 군사
                     키워드                                              의 위엄을 갖추고 가서 우거왕을 회유하도록 하였다.
                   왕검성, 우거왕, 위만, 범금 8조, 진국과 한 사이에서 중계 무역
                                                                    ① 정사암에 모여 재상을 선출하였다.
                     선택지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다.                      ②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부왕(否王) 등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다.               ③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왕 아래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④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있었다.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다.
                                                                    ⑤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다.
                   ˙연나라 장수 진개가 침략하였다.


                   부여                                            2.  다음 자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현도의 북쪽 천 리 쯤에 있다. 남쪽은 고구려와 동쪽은 읍루와 서
                                                                       쪽은 선비와 접해 있고, 북쪽에는 약수(弱水)가 있다. 면적은 사방
                                                                       이천 리이며, 본래 예(濊)의 땅이다.
                                                                     ○   사람이 죽어 장사 지낼 때는 곽은 사용하나 관은 쓰지 않고, 사람
                                                                       을 죽여서 순장하는데 많을 때는 100명 가량이 된다. 왕의 장례에
                                                                       는 옥갑을 사용하므로 한(漢)의 조정에서는 언제나 옥갑을 미리
                                                                       현도군에 갖다 두어, 왕이 죽으면 그 옥갑을 취하여 장사 지내게
                                                                       하였다.                           - 『후한서』 -
                     키워드
                                                                    ① 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있었다.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 순장, 사출도, 점복(소 발굽)
                                                                    ②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선택지                                            ③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여러 가(加)들이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④ 신성 구역인 소도에서 천군이 제사를 주관하였다.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⑤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고구려                                           3.  (가), (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그 나라의 풍속에 혼인을 할 때는 말로 미리 정한 다음, 여자
                                                                        집에서는 본채 뒤에 작은 집을 짓는데 그 집을 서옥(壻屋)이라
                                                                        부른다.                     - 『삼국지』 동이전 -
                                                                     (나)   장사를 지낼 때 큰 나무 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장이나 되
                                                                        며 한쪽을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사람이 죽으면 모두 가매장
                                                                        을 해서 ……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한다. 온 집 식구를 모두
                                                                        하나의 곽 속에 넣어 두는데, 죽은 사람의 숫자대로 나무를 깎
                                                                        아 생전의 모습과 같이 만든다.        - 『삼국지』 동이전 -

                     키워드                                            ① (가) - 대가들이 사자, 조의 등을 거느렸다.
                   서옥, 동맹, 제가회의
                                                                    ② (가) - 읍락 간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③ (나) - 도둑질한 자에게 12배를 변상하게 하였다.
                     선택지
                                                                    ④ (나) -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다.
                   ˙대가들이 사자, 조의 등을 거느렸다.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 대가들이 있었다.                        ⑤ (가), (나) -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018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