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P. 24

4.  어떤 정보가 있는가? 충분한 정보인가? 상충하는 정보인가?

                       5.  문제의 범위를 한정하라. 문제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6.  문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는 무엇인가? 그런 요소 간에 존재

                          하는 관계를 찾아 설명하라.

                       7.  이 문제에서 바꿀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뭔가가 실제로는 바뀔 수
                          있지만 바꾸지 못하는 경우는 생각하지 말자.

                       8.  이와 똑같은 문제일 수 있는 다른 경우는 없는가? 유추를 통해 같은

                          해결책을 이용할 수 있는가?



                       이러한 피닉스 사고 과정을 육아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지

                    안이의 사례를 적용해보겠습니다.



                       1.  지안이의 충동성 문제를 왜 해결해야 하는가? 당시 상황에 한정된
                          것이고, 실제 수업 중에는 문제가 없을까?

                       2.  지안이의 충동성 문제를 해결하면 어떤 이익이 있을까? 부모는? 지

                          안이는?
                       3.  아직 지안이에 대해 알지 못하는 부분이 더 있을까? 풀 배터리 검

                          사 결과를 통해서 알게 된 ADHD 성향과 사회성 문제는 당장 치료
                          받지 않으면 더 나빠질까?

                       4.  지안이의 충동 문제가 실제 충분하고 신뢰할 만한 정보에 의해 진

                          단된 것일까? 다른 병원이나 심리센터에서 다시 검사를 받아야




                                                                         165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