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P. 10

는 걸까요?
                     ‘실업률’이라는 지표도 있죠. 실업률이 높아 문제라는 얘기를 많이 듣

                    는데 수치가 얼마나 되길래 그러는 걸까요? 저는 강연을 할 때마다 이

                    질문을 종종 합니다. 실업률이 몇 퍼센트일지 예상해보라고요. 그러면
                    20퍼센트다, 30퍼센트다 하고 답합니다. 하지만 그건 현실과는 너무 동

                    떨어진 수치예요. 딱 잘라 말하면 우리나라는 실업률 통계를 기록한 이

                    후, 어쩌면 건국 이래 실업률이 20퍼센트를 넘어간 적이 없습니다. 최근
                    에도 실업률이 높다고 하지만 2017년 실업률은 3.7퍼센트였고, 2018년

                    에도 4퍼센트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흔히 생각하고 체감하는 것과 ‘실

                    업률’이라는 개념 간에 큰 차이가 있는 셈이죠. 청년 실업률이 심각하다고
                    하니 이에 대해서도 학생들에게 물어봅니다. 그러면 대부분 30~40퍼센

                    트라고 대답합니다. 앞으로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이 역시 너무나 터무

                    니없는 수치예요.



                     ‘경제’라는 단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지만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

                    는 사람은 매우 드뭅니다. 앞서 본 기초적인 질문에도 아마 대부분이 고
                    개를 갸웃거리며 대답을 망설였을 거예요.

                     이 책에서는 경제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요즘

                    ‘○알못’, 그러니까 ‘○○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줄임말이 유행하
                    고 있죠. 이 책은 ‘경알못’, 즉 ‘경제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한 책입

                    니다. 전국의 모든 경알못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경제를 읽어주고자

                    합니다. 그러니까 저는 ‘경제 읽어주는 남자’, 즉 ‘경읽남’입니다. 실제 경





                    18
                                       PART 1 ∷경알못을 위한 최소한의 경제 상식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