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우리는 보통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하고 각 계정과목을 확인한다.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거나 현금화가 가능하면 유동자산,  1년 이후 만기

                            가 도래하거나 현금화가 가능하면 비유동자산이라고 한다.







                               재무상태표에는 여러 종류의 자산이 있다



                               이제 정보이용자 입장에서 재무상태표의 수많은 자산을 생각해보자.

                            회사는 왜 이토록 많은 자산, 즉 다양한 계정과목을 보유하는 걸까? 단순히

                            대답하자면 정답은 ‘돈을 벌기 위해서’다. 그들은 돈을 어떻게 버는가? 사업

                            을 해서 번다. 사업은 어떻게 하는가? 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이용해서 한다.

                            회사는 공장을 돌려 제품을 생산하고 그렇게 생산한 제품을 판매한다. 이때

                            유형자산(공장), 재고자산(제품), 판매 후 매출채권이 각각 자산에 속한다.




                               영업자산과 비영업자산



                               단, 모든 자산을 회사의 사업에 동원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건축

                            자재 전문기업 KCC는 제품 생산・판매를 위해 공장과 사옥 같은 유형자산

                            만 2조 7,000억 원 이상 보유하고 있는데 삼성물산, 현대중공업 등 상장주

                            식도  2조 원 이상 갖고 있다.  KCC는 건축자재를 생산해 판매하는 사업을 하

                            므로 공장 같은 유형자산이 대표적인 영업자산이고, 삼성물산 주식은 사업





                                                                                          33
                                                                          POINT 1 _ 돈이 많은 기업인가








          1101_박회계사의완벽한재무제표활용법_본문최종.indd   33                                              2019-11-01   오후 3:16:0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