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P. 28

을 시각화하는 기술 덕분에 가능했다. 1992년에 개발된 자기공명영

               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필두로 뇌가 활동하는 모습을 실시간

               으로 볼 수 있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MRI 기술은 강한 자기
               장에 몸속 수소원자가 자기장의 방향으로 정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자기장에 노출된 신체 부위에 전파를 쏘면 정렬된 수소원자들이 잠시

               이탈했다가 제자리로 돌아온다. 이 과정에서 수소원자는 약한 전파를

               방출하는데, 이 전파를 스캐너가 수집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컴퓨터 프

               로그램을 이용해 영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기본 MRI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과 산소가 소진된 혈액을 구

               별할 수 있는 기능을 더한 방식이 기능  functional MRI다. 뇌세포가 왕

               성하게 활동할수록 주변의 혈관에서는 더 많은 산소를 뇌에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피의 흐름이 증가한다. fMRI는 그 순간의 산소량 증감을

               이용해 뇌 영상을 보여준다. MRI가 구조를 찍는다면 fMRI는 주로 기

               능을 찍는 것이다. 또 물 분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확산강조  diffusion-

               weighted MRI는 뉴런을 따라 수분이 확산되는 경로를 영상으로 담아낸

               다. 이러한 기술에 첨단 세포염색법과 현미경이 가세해서 완전한 커넥
               톰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3년에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es of Health, NIH에서 추진한 브레인이니셔티브  BRAIN
               Initiative, 유럽연합에서 추진한 휴먼브레인프로젝트  Human Brain Project

               등이 있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인간의 뇌지도가 완성되면 기억과 지
               식 등이 뇌의 어느 부분에 저장되고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생생하게 파

               악할 수 있을 것이다.






               28 | 생물학의 쓸모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