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P. 20

2                                        정답 ③      Ⅰ오답해설Ⅰ
                                                                        ① ‌‌동맹은 고구려의 제천 행사에 해당한다.
                   Ⅰ해설Ⅰ                                                 ② ‌‌사출도는 부여에 해당한다. 왕 아래 부족장(마가, 우가, 저가, 구가)이 각기 자
                    자료에서 남쪽은 고구려와 동쪽은 읍루와 서쪽은 선비와 접해 있고, 순장을 한다           기 지역인 사출도(행정 구역)를 통치하여 5부족 연맹 왕국의 형태를 띠었다.
                    는 내용 등을 통해 부여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④ ‌‌천군이 다스리는 소도의 존재는 삼한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정 분리의 모습을
                    ③ ‌‌부여에서는 12월에 ‘둥둥둥 북을 울리면서 신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보여준다.
                      있는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⑤ ‌‌삼한 가운데 변한에 해당하는 설명이다.

                   Ⅰ오답해설Ⅰ
                                                                          6
                    ① ‌‌옥저와 동예에는 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있었다.                                                               정답 ③
                    ② ‌‌옥저에는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④ ‌‌삼한에는 신성 구역인 소도가 있어 천군이 제사를 주관하였다.               Ⅰ해설Ⅰ
                    ⑤ ‌‌동예에는 책화라는 풍습이 있었다.                              자료에서 (가)는 동맹, 서옥 등을 통해 고구려, (나)는 5월과 10월에 계절제를 지낸
                                                                        다는 내용 등을 통해 삼한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 행사
                                                                        를 열었고, 혼인 풍습으로 서옥제가 있었다. 서옥제는 남자가 혼인을 한 뒤 처가에
                     3                                        정답 ①      서옥을 짓고 일정 기간을 살다가 여자를 데리고 남자 집으로 돌아가는 풍습이었다.
                                                                        ③ ‌‌삼한에는 신성 지역인 소도가 있고 천군이 제사를 주관하였다.
                   Ⅰ해설Ⅰ
                    자료의 (가)에서 혼인을 한 후 본채 뒤에 서옥(壻屋)을 짓는다는 내용을 통해 고구      Ⅰ오답해설Ⅰ
                    려, (나)에서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을 했다가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한다는 내용       ① ‌‌삼한에는 남녀가 몸에 문신을 새기는 풍습이 있었다.
                    등을 통해 옥저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혼인 풍습으로 서옥제가 있었고, 옥저는       ② ‌‌가야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다.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는 매장 풍습이 있었다.                  ④ ‌‌동예에는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여 다른 부족의 경계를 침범하면 가축이나
                    ① ‌‌고구려에서는 왕 아래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고, 대가들은 사자, 조       노비로 변상하는 책화라는 풍속이 있었다.
                      의 등을 거느렸다.                                        ⑤ ‌‌부여에는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로 배상하게 하는 1책 12법이 존재하였다.

                   Ⅰ오답해설Ⅰ
                    ② ‌‌책화는 동예의 풍속이었다.
                    ③ ‌‌도둑질한 자에게 12배를 배상하게 한 나라는 부여이다.
                    ④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 왜 등에 수출한 나라는 변한, 가야이다.               03       3세기∼6세기 삼국과 가야의
                    ⑤ ‌‌천군과 소도가 존재한 나라는 삼한이다.
                                                                                     성립 및 발전
                                                                           본문 022 ‒ 023쪽
                     4                                        정답 ②
                                                                          1                                       정답 ④
                   Ⅰ해설Ⅰ
                    제시된 자료에서 민며느리제를 통해 (가)는 옥저, 혼인 후 신랑이 서옥에 산다는        Ⅰ해설Ⅰ
                    내용을 통해 (나)는 고구려임을 알 수 있다.                           (가) 백제 왕이 평양성을 공격하여 왕이 서거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근초고왕의 평
                    ② ‌‌옥저에는 가족이 죽으면 임시로 매장하였다가 나중에 뼈만 추려 커다란 목곽        양성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371년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에 안치하는 풍습이 있었다.                                    (나) 고구려 왕 거련이 백제를 공격하여 백제가 고구려에 함락되었고, 백제 왕 경
                                                                        이 피살되었다는 내용을 통해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백제 개로왕이 전사한
                   Ⅰ오답해설Ⅰ                                               475년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① 여러 가(加)들이 사출도를 주관한 나라는 부여이다.                      ④ ‌‌고구려는 고국원왕 사망 이후 소수림왕이 즉위하며 태학 설립, 불교 수용, 율령
                    ③ 책화가 있었던 나라는 동예이다.                                   반포 등을 통해 정치적 안정을 다진 후 광개토 대왕 때 영토 확장에 나서 선비
                    ④ 철을 낙랑과 왜에 수출한 나라는 변한과 가야이다.                         족이 세운 후연을 격퇴하여 요동 지역을 확보하였다.
                    ⑤ 천군과 소도가 있었던 나라는 삼한에 해당한다.
                                                                        Ⅰ오답해설Ⅰ
                                                                        ① ‌‌미천왕은 313년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5                                        정답 ③      ② ‌‌고구려를 멸망시킨 당은 668년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하였다.
                                                                        ③ ‌‌이문진이 신집을 편찬한 것은 영양왕 때인 600년이다.
                   Ⅰ해설Ⅰ                                                 ⑤ ‌‌동천왕 때인 3세기 중엽 위의 장수 관구검의 침입을 받았다.
                    (가)는 옥저의 민며느리제, (나)는 동예의 책화에 대한 기록이다. 옥저와 동예는 ‌
                    왕이 없이 읍군, 삼로라고 불리는 군장이 부족을 통치하였다. 옥저는 민며느리제
                                                                          2
                    와 가족 공동 무덤의 풍습이 있었으며 어물과 소금 등 해산물이 풍부하였다. 동예                                                  정답 ⑤
                    는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지냈으며, 책화와 더불어 족외혼의 풍습이 있
                    었다.                                                 Ⅰ해설Ⅰ
                    ③ ‌‌동예의 특산물로는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였다.                  제시된 자료의 ‘고구려에 침입하여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고구려왕 사유가 힘을
                                                                        다해 싸우다가 화살에 맞아 사망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밑줄 그은 ‘왕’은 백제 근
                                                                        초고왕임을 알 수 있다. 자료는 근초고왕 26년(371) 고구려 정벌 기사이다. 4세기
                                                                        후반 근초고왕은 왕위의 부자 상속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고구려의 평양
                                                                        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황해도 일대까지 진출하였다.
                                                                                                                    219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