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P. 9

야 한다. 갑자기 마음이 불편해진다.

                     객관적인 지침이 없기 때문에 인간의 선택은 임의성을 띤다.
                   이건 웃긴 일이다. 솔직히 이거야말로 인간의 실존이 부조리하다

                   는 증거가 아니겠는가? 안타깝지만 그런 것 같다. 그러나 “세상

                   의 수많은 사물처럼 인간 역시 미리 정해진 본질을 가진 객체”라
                   는 생각도 부조리하긴 마찬가지다.

                     일부 실존주의자들은 이렇게 말했다. “에라 모르겠다, 삶의 모
                   든 부조리를 당연한 걸로 받아들이고 어찌 됐든 계속 살아나가

                   자.” 카뮈는 <시시포스의 신화       The Myth of Sisyphos >라는 독창적인 글에

                   서 부조리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인간의 실존을 그리스 신화에 나
                   오는 시시포스에 비유했다. 시시포스는 무거운 바위를 언덕 위로

                   밀어 올리는 영원한 형벌에 처해진 인물이다. 바위가 떨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밀어야 한다. 즐거운 파티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
                   만 카뮈는 이렇게 결론 내렸다. “우리는 시시포스가 행복하다고

                   상상해야만 한다.” 이거야말로 부조리 그 자체다.

                     실존의 부조리라는 개념을 가장 잘 묘사한 사상가는 희곡 《고
                   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 》를 집필한 사뮈엘 베케트다. 고전으

                   로 손꼽히는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떠돌이 신세인 블라디미르
                   (디디)와 에스트라공(고고)은 계속 고도를 기다리기만 한다. 그





                                                                    013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