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인간의 심리와 성격을 구성하는 성향과 요소들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창작할 수 있는 캐릭터의 범위
와 묘사할 수 있는 깊이가 달라집니다. 앞서 말했듯 작품 속의 캐릭터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은유입니
다. 캐릭터를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명확해질수록 캐릭터가 맡게 될 역할이 명
료해지지요.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와 작품의 형식이 뚜렷하게 정해진 후에 전개에 필요한 캐릭터
가 떠오르게 됩니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인공과 상호작용할 주변 인물들 역시 작품에 필요한 역할에
최적화된 성향으로 구성할 수 있지요.
캐릭터 성격 구성하기
진지한 형식의 극화 작품에서는 작품 속 캐릭터가 단순히 한 가지 성향을 나타내는 기호적인 역할에 머
무르지 않고 더욱 복잡하고 사실적인 존재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특히 캐릭터의 성격에 서로 상충되는
성향이 뒤섞여 있을 경우 심리적인 모순과 아이러니, 의외성과 같은 심화적인 면모들이 극대화됩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흔히 만나볼 수 있는 입체적인 인물형으로 완성되는 것이지요. 이런 인물들이 등장
하는 장르는 소위 문학적이라고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유쾌하고 간단한 형식의 작품에는 인물의 개성이 한눈에 쉽게 드러나도록 성격적 특성을 단순화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별히 캐릭터의 성격적 특성이 외형에 반영될 경우, 만화인 연출과 과장이
가미되어 재미가 증폭합니다. 특정한 목적에 따라 만들어진 캐릭터들이 지극히 평면적으로 묘사되는
한계가 있음은 분명합니다. 다만, 명랑만화 장르나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작품 등 그 평면성이 가지
는 단순함 자체가 장르적 미덕에 해당하는 예외적인 경우도 많이 있음을 숙지해야 합니다. 만화 매체
는 이런 단순한 형식의 캐릭터들이 가장 크게 활약하는 장르라는 사실 역시 잊지 말아야겠죠.
다양한 성격유형이나 성향을 정통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심리학적 지식이 큰 도움을 줍니
다. 특별히 다양한 인간상이 등장하는 큰 규모의 작품이나, 인물에 대한 밀도 높은 통찰을 담은 작품
의 경우는 조금 더 깊이 있는 자료 조사와 연구를 필요로 하지요. 깊이 있는 설득력을 갖춘 캐릭터의 심
리묘사를 위해서는 인문학과 심리학, 심지어 정신분석학 지식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다양한 성격
구성 요소가 낯설게 느껴진다면 먼저 성격유형검사나 각종 운세 등의 텍스트를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캐릭터의 입장에서 자기 소개서를 쓰거나, 특정 모델을 두고 성격을 상상하여 묘사하는 연습
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chapter 1. 캐릭터 만들기 107
01_웹툰기획(170_225) 파트123.indd 107 2019-11-20 오후 6:5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