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무역 거래가 불합리하다고 여긴 영국은 수출량을 늘리기 위해 청나라에
교역할 수 있는 항구를 더 개항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청나라는 영국의
제안을 완강히 거절했다. 무역으로 인한 손해가 점점 증가하자 영국은 이를
해결할 궁리를 하던 끝에 인도에서 재배한 아편을 청나라에 밀반입하여 중국
인들에게 판매했다.
영국의 아편이 청나라에 들어오자 아편 중독자가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증가했고, 홍차 수출보다 아편 수입량이 많아지면서 청나라 경제가 흔들리
기 시작했다. 청나라는 아편 수입 금지령을 내리고 임칙서를 광저우로 보내
영국 상인들의 아편을 빼앗아 불태워버렸다. 영국은 이 사건을 빌미로 영국
원정군을 중국에 파견 보냈고, 결국 전쟁이 발발했다. 이것이 바로 아편전쟁
(1840년)의 시작이다.
부패하고 무능력했던 청나라는 1842년에 아편전쟁에서 패배하고 그 대가
로 난징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청나라는 그 조약에 따라 막대한 전쟁 비용
을 배상하고 5개의 항구(광저우, 샤먼, 푸저우, 닝보, 상하이)를 강제로 개항해야 했으며,
홍콩섬(香港岛)까지 빼앗겼다. 하지만 5개의 항구를 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중
국의 수입량은 크지 않았다. 영국과의 전쟁에 패배하면서 중국 내에서 영국
에 대항하는 민중운동이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이다.
난징조약을 통해 이렇다 할 수확을 얻지 못한 영국이 프랑스와 함께 다시
청나라를 침략하면서 제2차 아편전쟁(1956년)이 시작되었다. 역시나 청나라는
제2차 아편전쟁에서도 패배했고, 심지어 베이징(북경)까지 점령당했다. 그로
인해 청나라는 기존 5개 항구 이외에 10개의 항구를 더 개항하게 되었고, 전
쟁 배상금도 더욱 가중되었다.
첫째마당. 중국은 어떤 나라인가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