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P. 15
액티브펀드 운용전략 3 ─ 종목 선택
시장지수나 업종지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익이 기대되는
종목을 선정해서 중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시장이 움직이는 대로 따라가는 패시브펀드
펀드매니저 입장에서는 펀드수익률이 시장평균보다 높아야 할 뿐만
아니라, 경쟁 펀드에 비해서도 상대적인 우위를 점해야 합니다. 그래야
만 경쟁 펀드보다 많은 자금이 유입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액
티브펀드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펀드를 운영하게 되고, 잦은 매매
로 매매수수료가 증가하는 등 펀드비용이 많이 지출됩니다.
이에 반해 패시브펀드는 지수를 추종하는 소극적인 펀드이므로 지수와
펀드수익률 간 편차를 조정해주는 것 이외에 특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펀드운용 비용이 저렴합니다. 인덱스펀드는 패시브
펀드의 대표상품이며, 그중에서도 ETF는 가장 소극적인 펀드입니다.
▶알아두세요 액티브펀드와 패시브펀드
벤치마크지수 구분 액티브펀드(주식형펀드) 패시브펀드(인덱스펀드)
펀드의 수익률 추적대상이 되거 목표수익률 지수 대비 초과수익률 벤치마크하는 지수 의 수익률
◀
나 비교의 척도가 되는 시장지수
•적극적 자산운용 •소극적 자산운용
를 말합니다. 펀드 스타일에 따
◀
라 선택할 수 있는 지수가 여럿 운용방식 •종목 선택 •추적오차 최소화
이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벤치 •마켓 타이밍에 따른 잦은 매매 •장기투자(Buy & Hold 전략)
마크지수는 코스피200입니다. •자산 배분(주식 vs. 현금) •포트폴리오 구성
운용전략
•종목 선정 •차익거래
추적오차(Tracking Error)
•금융기관: 고수익 •금융기관: 저수익
인덱스펀드는 펀드의 수익률이 수익과 비용
지수 수익률을 따라가는 것이 목 •투자자: 고비용(2% 이상) •투자자: 저비용(1% 이내)
표입니다. 펀드를 운영하다 보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크다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작다
특징
면 지수와 펀드의 순자산가치가 •펀드운영이 복잡하고 어렵다 •펀드운영이 투명하다
일치하지 않고 벌어지기도 하는
위험요인 •공격적 운용으로 위험이 높다 추적오차만 조정하므로 위험이 낮다
데, 이를 추적오차라고 합니다.
28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2│ETF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