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P. 9

등급A                                            등급C


               13.  자료 흐름도(DFD)를 작성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없는 항목은?       15.  다음 중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
               ①  자료 흐름은 처리(Process)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           린 것은?
                 운 이름을 부여한다.                                  ①  메소드를 오버라이딩으로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은
               ②  어떤 처리(Process)가 출력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추상화이다.
                 반드시 입력 자료가 발생해야 한다.                          ②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을
               ③  자료 저장소에 입력 화살표가 있으면 반드시 출력 화살                 캡슐화라고 한다.
                 표도 표시되어야 한다.                                 ③  이미 정의된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
               ④  상위 단계의 처리(Process)와 하위 자료 흐름도의 자료             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상속이라고 한다.
                 흐름은 서로 일치되어야 한다.                             ④  한 모듈 내부에 포함된 절차와 자료들의 정보가 감추어
                                                                져 다른 모듈이 접근하거나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
               전문가의 조언                                          법을 정보은닉이라고 한다.
               자료 저장소의 입력 화살표는 데이터의 입력 및 수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입력 화살
               표가 있다고 하여 반드시 출력 화살표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문가의 조언
                                                              • 메소드 오버라이딩이란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소드와 이름은 같지만 메소드
                                                               안의 실행 코드를 달리하여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메시지에 대해 각각의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방법(특성)으
                                                               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다형성(Polymorphism)이라고 합니다.
                                                              • 추상화는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객체의 속성 중 가장 중요한 것에만 중점을
                                                               두어 개략화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의 요소는 클래스입
                                                               니다.






                                                    등급A                                            등급B


               14.  다음 중 활동 다이어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6.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모델  중  MVC(Model-View-
                                                              Controller)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클래스와 클래스가 가지는 속성, 클래스 사이의 관계를
                                                              ①  MVC 모델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계층의 응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집도를 높일 수 있고, 여러 개의 다른 UI를 만들어 그
               ②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이나 객체들이 주고받는 메시지를
                                                                사이에 결합도를 낮출 수 있다.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이다.
                                                              ②  모델(Model)은 뷰(View)와 제어(Controller) 사이에서
               ③  하나의 객체가 자신이 속한 클래스의 상태 변화 혹은 다
                                                                전달자 역할을 하며, 뷰마다 모델 서브시스템이 각각 하
                 른 객체와의 상호 작용에 따라 상태가 어떻게 변하는지
                                                                나씩 연결된다.
                 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이다.
                                                              ③  뷰(View)는 모델(Model)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
               ④  오퍼레이션이나 처리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일어나는
                                                                페이스에 보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일들을 단계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④  제어(Controller)는 모델(Model)에 명령을 보냄으로써
               전문가의 조언                                          모델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활동 다이어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④번입니다.
               • ①번은 클래스 다이어그램, ②번은 순차(Sequence) 다이어그램, ③번은 상태  전문가의 조언
                (State) 다이어그램에 대한 설명입니다.                      모델(Model)은 서브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데이터를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14     01회  2025년 8월 기출문제                                                  정답 13.③ 14.④ 15.① 16.②







                                                                                                     2025. 10. 30.   오후 4:29
          1-3_2026기출문제집필기_정보처리기사(010~081)_ej1.indd   14                            2025. 10. 30.   오후 4:29
          1-3_2026기출문제집필기_정보처리기사(010~081)_ej1.indd   14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