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문제 2 스케줄링 하고자 하는 세 작업의 도착 시간과 실행 시간         ➋ 교착 상태의 필요 충분 조건     23.7, 22.4
                   은 다음 표와 같다. 이 작업을 SJF로 스케줄링 하였을 때, 작업 2      •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
                   의 종료 시간을 쓰시오. (단, 여기서 오버헤드는 무시한다.)            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점유와 대기(Hold & Wait) :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
                      작업     도착 시간   실행 시간
                       1       0        6                        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는
                       2       1        3                        자원을 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있
                       3       2        4                        어야 함
                   답 :                                          • 비선점(Non-preemptive) :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
                                                                 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어야 함
                    해설                                          • 환형 대기(Circular Wait) : 공유 자원과 공유 자원을 사용
                   SJF 스케줄링은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CPU를 할당하는 기법입니다. 처음에 도착한 작업 1이 먼저 실           있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면서 앞이나 뒤에
                   행된 후 그 다음에 도착한 작업중 실행 시간이 짧은 작업을 먼            있는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해야 함
                   저 실행하게 됩니다. 작업 1의 실행(6)을 마친 후 작업 2가 실
                   행(3)되므로 작업 2의 종료 시간은 9가 됩니다.
                                                                ➌ 교착 상태의 해결 방법 – 회피 기법(Avoidance)    24.5
                    ૓೯ दр                                       •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상태

                                प೯                                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이다.
                     ੘স     ب଱        ৮ܐ
                            प೯
                            द੘                                  • 주로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이 사용된다.

                                 ؀ӝ      प೯
                     ੘স     ب଱        प೯    ৮ܐ
                                      द੘

                                     ؀ӝ        प೯
                     ੘স       ب଱            प೯     ৮ܐ             005     기억장치 관리
                                            द੘
                                                                ➊ 배치(Placement) 전략  25.8, 23.5, 23.2
                                                                새로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
                                                                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이다.
                                                                 예제  주기억장치 상태가 다음 표와 같다. 기억장치 관리 전략
                                                                으로 First Fit, Best Fit, Worst Fit 방법을 사용하려 할 때, 각 방법
                                                                에 대하여 10K의 프로그램이 할당받게 되는 영역의 번호는?
                    004    병행 프로세스와 상호 배제                          영역 번호      영역 크기        상태

                 ➊ 세마포어(Semaphore)  25.5, 23.5, 23.2                 1          5K         공백
                 • ‘신호기’, ‘깃발’을 뜻하며, 각 프로세스에 제어 신호를                  2          14K        공백
                   전달하여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3          10K       사용 중
                 • 세마포어는 다익스트라(E. J. Dijkstra)가 제안하였으
                                                                     4          12K        공백
                   며, P와 V라는 두 개의 연산에 의해서 동기화를 유지
                                                                     5          16K        공백
                   시키고 상호 배제의 원리를 보장한다.
                 • S는 P와 V 연산으로만 접근 가능한 세마포어 변수로,               ❶ 먼저 10K가 적재될 수 있는지 각 영역의 크기를 확인한다.
                   공유 자원의 개수를 나타내며 0과 1 혹은 0과 양의 값              ❷  First Fit : 빈 영역 중에서 10K의 프로그램이 들어갈 수 있는
                   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영역은 2번이다.
                 • 세마포어에 대한 연산은 처리중에 인터럽트되어서는                   ❸  Best Fit : 10K 프로그램이 들어가고 단편화를 가장 작게 남
                   안 된다.                                          기는 영역은 4번이다.


                  정답   1. D, C, B, A  2. 9
                                                                                             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79





                                                                                                     2025. 9. 24.   오전 11:02
          2026기본서필기_산업기사_1과1장(017-088)_ej4.indd   79                                 2025. 9. 24.   오전 11:02
          2026기본서필기_산업기사_1과1장(017-088)_ej4.indd   7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