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P. 13

여덟째, 소액으로도 채권, 주식, 원자재 등에 투자할 수 있다. 대부분의 ETF

                    들이 1만원 이하이거나 비싸야 2~3만원대다. 원자재(구리, 원유, 금은 등)는 인                      PART 1

                    플레이션 헤지 기능도 하므로 ETF로 원자재에 투자할 수 있어서 좋다.

                     인플레이션이 되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디플레이션이 되면 물가

                    가 지속적으로 하락한다.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가치는 떨어지지만(달러약세                             PART 2
                    등), 원자재 가격은 상승한다. 돈의 가치가 떨어졌으므로 돈을 더 많이 줘야만

                    원하는 물건을 살 수 있다. 인플레이션이 우려된다면 원자재와 관련된 ETF를

                    눈여겨보자.                                                              PART 3

                     아홉째, ETF는 주식과 달리 주식을 매도할 때 내는 증권거래세(농어촌특별

                    세 포함 0.23%, 2023년부터 0.15%)가 없다.                                     PART 4



                     모르면 알고 투자하라

                     ETF에는 선물, 레버리지(인버스) 등과 같은 금융공학도 많다. ETF는 안전

                    하고 쉬운 투자인데, 여기에 금융공학을 대입하니 어렵게 느껴진다. 커버트
                    콜, 스마트 베타 등과 같이 ETF명도 어렵고, 내용은 더더욱 쉽지 않다. 내용을

                    상세히 알고 투자하자.

                     상세히 알려고 해도 이해하기 어렵다면 굳이 투자하지 말자. 이런 주린이

                    투자자라면 차라리 업종이나 섹터 ETF에 집중하자. 복잡하다고 해서 수익률
                    이 좋은 것은 아니다. 자신이 알 만한 ETF를 중심으로 압축하는 것이 영리한

                    투자법이다.










                    부의 시작을 알리는 ETF 고수익 전략                                      2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