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P. 22
두 가지 방식으로 생성한 파드가 모두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해 봅시다. 먼저 kubectl get pods
-o wide 명령으로 생성된 파드의 IP를 확인합니다.
[root@m-k8s ~]# kubectl get pods -o wid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IP NODE
NOMINATED NODE READINESS GATES
dpy-nginx-7cd4d79cc9-xmv28 1/1 Running 0 72s 172.16.221.129 w1-k8s
<none> <none>
nginx-pod 1/1 Running 0 109s 172.16.103.132 w2-k8s
<none> <none>
각 파드에서 curl 명령을 실행해 웹 페이지 정보를 받아오는지 확인합니다.
[root@m-k8s ~]# curl 172.16.221.129
<!DOCTYPE html>
<html>
<head>
<title>Welcome to nginx!</title>
[생략]
[root@m-k8s ~]# curl 172.16.103.132
<!DOCTYPE html>
<html>
<head>
<title>Welcome to nginx!</title>
[생략]
두 파드의 nginx 웹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렇다면 run과 create
deployment로 파드를 생성한 것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run으로 파드를 생성하면 단일 파드 1개만 생성되고 관리됩니다. 그리고 create deployment로 파
드를 생성하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라는 관리 그룹 내에서 파드가 생성됩니다. 비유를 들자
면, run으로 생성한 파드는 초코파이 1개이고, create deployment로 생성한 파드는 초코파이 상
자에 들어 있는 초코파이 1개입니다.
110
인프라_06.indd 110 2021-05-31 오후 3:4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