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030851
P. 11

26회 35번
                 35회 32번
                                                             2. 다음 자료에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흥선 대원군
                 1.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시아버지 죽어 이미 상복 입었고
                            갓난아이 배냇물도 다 안 말랐는데


                                                                   ●   어깨 팔뚝 드러난 적삼 입은 어린 것들
                            삼대의 이름이 군적에 모두 다 실렸으니

                            가서 억울함 호소해도 문지기는 호랑이요                    바지 버선 한 번도 못 입었으리
                            이정(里正)은 호통치며 외양간 소 끌고 갔네.
                                                                     큰 아이는 다섯 살에 기병에 등록되고

                   이 글은 군정의
                                            이러한 폐단을 해결하기             작은 놈도 세 살에 군적에 올라 있어
                  문란으로 고통받는
                                             위해 흥선 대원군은
                  백성의 삶을 표현한                                                         - 적성촌에서 -
                                                (가)
                   애절양이란 시야.

                                                                   ●   시아버지 삼년상 벌써 지났고

                                                                     갓난아인 배냇물도 안 말랐는데
                                                                     이 집 삼대 이름 군적에 모두 실렸네

                                                                                        - 애절양 -
                 ①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하는 호포제를 실시했어.
                             흥선 대원군
                 ② 전세를 1결당 4~6두로 고정하는 영정법을 실시했어.
                          인조                                 ① 호포법을 제정하여 군포를 징수하였다.
                 ③ 현직 관리에게만 과전을 지급하는 직전법을 시행했어.              ② 5군영에서 2영으로 군제를 개편하였다.
                                                 세조
                 ④  봄에 곡식을 빌려주고 가을에 갚도록 하는 의창을 설치했어.         ③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성종(고려)          ④ 속대전을 편찬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하였다.
                 ⑤ 기금을 모아 그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제위보를 마련했어.
                                           광종(고려)            ⑤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여 관리를 재교육하였다.
               48회 28번                                        47회 30번
              3.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 (가),(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o  왕이 말하기를,“요즘 각 고을 백성의 생활 형편이 매우 좋             (가)  왕이 창덕궁 인정전에서 즉위하였다. 그때 나이가 12
                 지 않다고 한다. 작년부터  (가) 이/가 분부를 내려 양반                살이었기 때문에 [신정]익황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호(戶)는 노비의 이름으로 포(布)를 내게 하였고, 일반 백성               친아버지인 훙선군을 높여 대원군으로 삼아 모든 정
                 들은 신포(身布)로 내게 하였다. …… 의정부에서는 각 도에                사에 참여하게 하고 신하의 예와는 달리 대우하였다.
                 알려 이를 만년의 법식으로 삼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였다.                                          「대한계년사」
               o  왕이 말하기를, “요즘에 서원마다 사무를 자손들이 주관하              (나)  최익현이 상소를 올려 대원군의 잘못을 탄핵하기를,
                 고 붕당을 각기 주장하니,이로 인한 폐해가 백성들에게 미                  “만약 그 자리가 아닌데도 국정에 관여하는 자는 단
                 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 서원을 훼철(毁撤)*하고 신                지 그 지위와 자리의 녹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입니
                 주를 땅에 묻어 버리는 등의 절차를  (가) 의 분부대로 거                다.”라고 하였다. 왕이 너그러운 비답을 내려 특별히
                 행하도록 해당 관청에서 팔도(八道)와 사도(四都)에 알리                  그를 호조 참판에 발탁하고 총애하였다. …… 대원군
                 라.”라고 하였다.                                       이 분노하여 양주 직곡으로 물러나자 권력은 모두 민
               *  훼철(毁撤): 헐어서 치워 버림                               씨의 손아귀에 들어갔다.
                                             「승정원일기」                                        「대한계년사」

              ① 통리기무아문과 12사를 설치하였다.
              ②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① 사창제가 실시되었다.        ② 속대전이 편찬되었다.
              ③ 나선 정벌을 위해 조총 부대를 파견하였다.                      ③ 장용영이 설치되었다.        ④ 계해약조가 체결되었다.
              ④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였다.              ⑤ 백두산정계비가 건립되었다.
              ⑤  환곡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사창제를 전국적으로 시행하
                였다.
                                  •대원군은 백성들을 괴롭히는 군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반도 군포를 납부하게 하는 호포제를 시행하였다.(35회)
                                  •대원군은 양반에게도 군포를 부담시키는 호포제를 실시하여 조세 부담을 공평하게 하고자 하였다.(26회)
                     선택지 분석
                                  •대원군은 삼정의 문란 중 가장 폐단이 심한 환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창제를 시행하였다.(48회)
                                  •대원군은 환곡 문제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사창제를 실시하였다.(47회)
                                                                                            근대 사회   14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