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러울 거예요. 반면에 여러 불안정한 형태의 애착 상태로,

                부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이 내면에 형성되었다면 아이와
                의 관계에서도 아이에게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혹은 아이
                와 친밀해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적당한 거리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요

                긍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을 통해 맺게 되는 건강한 관계
                란 ‘적당한 거리감’이라고 설명할 수 있어요. 타인을 배
                척하거나 경계하지 않고 신뢰감을 기반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지나치게 관계에 집착하지 않으며 독립적인
                자아 대 자아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 이것이 적당하고
                건강한 거리이지요.
                  하지만 불안정 애착이 형성되어 있다면 타인과 맺는

                관계에서 이 거리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게 어려울 수 있
                어요. 관계를 맺을 때 상대방을 너무 경계하거나 반대로
                집착하게 될 수 있거든요. 특히 부모 역할을 하면서부터

                내면에 형성된 관계에 대한 모델이 더 확연히 드러나곤
                해요. 이전에 맺었던 관계와 달리 아이와의 관계는 떼려
                야 뗄 수 없는 특수한 관계니까요.

                  그렇다면 부모가 부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을 가지고
                있을 때 아이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23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