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산일수록 튼튼한 자산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금액의 주식과 아파트가
           있다면, 처분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한 아파트보다는 손쉽고

           빠르게 처분할 수 있는 주식이 유동성이 좋은 자산입니다. 이처럼 손쉽고
           빠르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회계에서는 유동성이 좋은 자산이라고 합

           니다. 좋은 기업일수록 유동성이 좋은 자산이 많습니다. 이를 유동비율이라
           고 하며,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유동자산/유동부채)’으로

           계산합니다. 지금은 유동비율이 높을수록(권장기준 200% 이상) 좋은 기업이라
           는 사실 정도만 기억하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

            기업의 자산은 기업을 분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직전년도 말의 자산이 120억원 이상인
            기업은 의무적으로 기업 외부의 공인회계사로부터 회계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우리가 남들에게 내 통장을
            보여주고 지적을 받는 것이 꺼려지듯,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회계감사를 받지 않으려고(자산 120억원을 넘
            지 않으려고) 부단한 노력(?)을 하기도 합니다. 기업에서 자산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
            습니다.
                       자산 금액                        적용사례
                      120억원 이상                   외부감사 의무기준

                      5천억원 미만                    중소기업 분류기준
                       10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지정기준

                                                              (2017. 1. 1 기준)












           032   돈이 보이는 손가락 회계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