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그리고 정보가 공급자 중심으로 순환되던 과거와 달리 소비자 중심으
로 돌고 있기 때문에 공급자적 개념으로 차별점을 내세우는 것은 이
제 큰 메리트가 없습니다. 공급자가 아닌 소비자가 선택하고 그것이
우위로 나타나야 차별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대 시장은 차별점을 만들어내는 것이 더욱 힘들기 때문에 차별화
전략을 이용하라는 말이 공허하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
히 차별화는 유효하고, 어떤 효용을 줄지는 변화하는 트렌드와 라이
프스타일 등에서 계속 고민하고 탐구해야 하는 영역입니다. 이런 차
별화는 기업에게는 비용, 소비자에게는 효용입니다. 비용이 효용으로
연결되어야 좋은 차별화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포지셔닝과 가치 제안의 의미
포지셔닝은 차별화 전략의 연장선상이지만 주체가 전혀 다른 개념입
니다. 포지셔닝은 기업들이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목표로 삼은
세분 시장에 차별화된 가치를 만들고 그 시장에서 어떤 위치를 점유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자 소비자가 혜택으로 생각할 만한 것들의 조합)을 만들고 주요
속성들을 근거로 소비자들이 상품을 정의하게 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기업이 소비자들에게 자신들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어떻게 평
가받도록 할 것인가 고민하는 문제입니다. 결론적으로 포지셔닝의 주
체는 소비자이지만 소비자가 위치를 정하는 과정에 기업이나 마케터
가 포지션을 찾거나 위치를 잡도록 도와준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정말 비싼 가방을 판매하고 싶다면 최우선적으로 높은 가
격을 결정하고, 양질의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 채널을 한정하고, 마
케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럭셔리한 느낌을 주는 단어를 실어 소비
자에게 ‘이 상품은 매우 질이 좋고 비싼 상품이겠구나’라고 인식시켜
107
포지셔닝(Positioning)
마케팅무따기-최종.indd 107 2019-08-07 오후 2:3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