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인수’가 1이면 ‘1번째’, ‘인수’가 2이면 ‘2번째’, …, ‘인수’가 n이면 ‘n번째’ 값 반환
                         CHOOSE(인수, 1번째, 2번째, …)
                                                   =CHOOSE(2, “A”, “B”, “C”) : 2번째 값인 “B”를 반환함
                                                  ‘범위’의 첫 번째 행에서 ‘옵션’에 맞게 ‘찾을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은 후 ‘찾을값’이 있는 열에서 지정된 ‘행 번호’ 위치에 있는 값 반환
                                                  • 옵션
                                                    - TRUE 또는 생략 : ‘찾을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나 근사값을 찾음(‘범위’의 첫 번째 행 오름차순 정렬)
                         HLOOKUP(찾을값, 범위, 행 번호, 옵션)
                                                    - FALSE : ‘찾을값’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음
                                                    =HLOOKUP(A1, B2:C3, 2, FALSE) : [B2:C3] 영역의 첫 번째 행에서 [A1] 셀의 값과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고, 찾은 값이 있
                                                    는 열에서 행 번호로 지정된 두 번째 행의 값을 반환함
                                                  ‘텍스트’의 왼쪽에서 지정한 ‘개수’만큼 반환
                         LEFT(텍스트, 개수)
                                                   =LEFT(“KOREA”, 2) : “KOREA”의 왼쪽에서 두 문자인 “KO”를 반환함






                          합격포인트                                                 수식의 이해

                                                                                시험 점수가 가장 높은 사원은 “1위” 입력, 그렇지 않으면 공백 입력
                       • 논리 함수에서는 문제에 제시된 함수를 이용하여 정확한 조건식
                                                                                       ➊            ➋         ➌
                        을 만드는 것이 합격포인트입니다.
                       • 중첩함수를 사용하는 복잡한 수식을 작성해야 하는 문제는 한 번                    =IF( LARGE(D3:D7, 1)=D3, “1위”, “  ” )
                        에 완벽하게 입력하려고 애쓰지 말고, 논리 순서에 맞추어 차례대                             ➊       ➋ ➌
                        로 수식을 완성해 보세요.                                         • ➊ LARGE(D3:D7, 1)=D3 : [D3:D7] 영역에서 1번째로 큰 값인 94를 반환
                       ☞  직접 실습하려면 ‘길벗컴활2급총정리\기능\06논리함수.xlsm’ 파                 합니다. 94는 [D3] 셀의 값인 87과 같지 않으므로 거짓을 반환합니다.
                         일을 열어서 작업하세요.                                         • =IF(거짓, “1위”, “  ”) : ‘조건’이 거짓이므로 [E3] 셀에 “  ”(공백)을 입력합
                                                                                니다.
                                                                               ※  복잡한 수식을 입력할 때 좌우의 괄호가 맞지 않아 수식에 오류가 발생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같은 레벨의 괄호 또는 인수 단위로
                             전문가의 조언
                                                                                충분한 거리를 두고 수식을 입력하면 구분하기가 훨씬 쉽습니다.
                        • IF 함수 문제는 IF 함수의 논리 규칙에 맞게 우리말로 수식을                    =IF(  LARGE($D$3:$D$7, 1)=D3,  “1위”,  “ ”  )
                         세워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처럼 수식 중간에 공백을 주고 입력해도 결과는 올바르게 표시됩니다.
                        •어렵게 느껴지면 [수식의 이해]를 반복해서 읽어보세요.









                                                                                                                       2340612

                                                                                  25.상시, 24.상시, 23.상시, 22.상시, 21.상시, 20.상시
                          25.상시, 24.상시, 23.상시, 22.상시, 21.상시, 20.상시, 19.상시, 18.상시, 18.2, 18.1, 17.상시, 17.1, 16.상시, 16.2, 16.1, …
                       01  IF 함수                                             [유형 2] IF, COUNTIF 함수 사용
                                                                             지각[B3:B7]이 3번 이상이고, 결근[C3:C7]이 3번 이상이면 “주의”, 그 외
                       ※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수식을 이해하고 작성해 보세요[유형 1~3].
                                                                             에는 공백을 비고[F3:F7]에 표시하시오.
                                                                             [  =IF( COUNTIF(B3:C3, “>=3”)=2, “주의”, “  ” )  ]

                                                                                수식의 이해

                                                                                지각이 3번 이상이고, 결근이 3번 이상이면 “주의” 입력,
                                                                                          ➊                ➋
                                                                                그렇지 않으면 공백 입력
                                                                                     ➌

                                                                2340611        =IF( COUNTIF(B3:C3, “>=3”)=2, “주의”, “  ” )
                                                                                          ➊         ➋   ➌
                            25.상시, 24.상시, 23.상시, 22.상시, 21.상시, 20.상시, 19.상시, 18.상시, 18.2, 17.상시, …
                       [유형 1] IF, LARGE 함수 사용                                  • ➊ COUNTIF(B3:C3, “>=3”)=2 : [B3:C3] 영역에서 값이 3 이상인 셀의
                                                                                개수 0을 반환합니다. 0은 2와 같지 않으므로 거짓을 반환합니다.
                       시험[D3:D7] 점수가 가장 높은 사원은 “1위”, 그 외에는 공백을 결과
                                                                               • =IF(거짓, “주의”, “ ”) : ‘조건’이 거짓이므로 [F3] 셀에 “  ”(공백)을 입력합
                       [E3:E7]에 표시하시오.
                                                                                니다.
                       [  =IF( LARGE($D$3:$D$7, 1)=D3, “1위”, “  ” )  ]

                                                                                                                  계산작업    43






                                                                                                                       2025. 8. 12.   오전 10:42
          1_2026총정리실기_컴활2급_기능(017~134)_ej4.indd   43                                                  2025. 8. 12.   오전 10:42
          1_2026총정리실기_컴활2급_기능(017~134)_ej4.indd   43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