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유동성 공급은 성공할까?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실물경제로 돈이 들어와야
             합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는 한, 전 세계가 유동성을 공급한

             다고 해서 실물경제로 돈이 들어오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돈이 아무리

             많아져도 바이러스가 대유행하면 비행기를 타고 여행을 다닐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해도 실물경제가 회복될 때까

             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결국 빠른 경기 회복을 가져오기 위
             한 가장 좋은 방법은 코로나19의 조기 종식입니다.



               우리나라 재정은 안전한가?




               우리나라 정부의 대규모 돈 풀기가 시작되자 재정건전성 악화를 우려하
             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전 세대에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소상공인과 기업

             에도 많은 돈을 쓰니 우려가 될 수도 있죠. 그러나 이로 인해 재정건전성이
             심각하게 악화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코로나19가 지속되

             지 않는 한, 일회성 자금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GDP 대비 정
             부부채 비율은 40% 정도로 아직까지는 양호한 편입니다. 물론 예전보다는

             정부부채 비율이 올라갈 수도 있지만 재정건전성이 심하게 훼손되지는 않

             을 듯합니다.










          4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