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
P. 42

정보디자인이야말로 모바일 환경에 가장 적합한 디자인 방식이다. 픽토그램과 다이어그램, 아
                      이콘, 이모티콘 등 그림 문자는 정보를 표현하고 감정까지 전달한다.

                      정보디자인은 왠지 개발자에게 잘 어울리는 단어이다. “나 정보디자인 좀 할 줄 아는 개발자

                      야.”라고 하면 세련돼 보인다. 정보디자인을 예쁘게 꾸민 게 플랫 디자인 스타일이다.





















            44
                      |  픽토그램은 문장을 읽지 않아도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정보를 문자로만 적으면 글을 읽고 이해한 후에야 기억된다. 이마저도 시간이 지나면 잊어버
                      리고 만다. 반면에 글을 설명하는 간단한 도형을 함께 보여주면 어떨까? 두뇌는 글과 그림을

                      마치 사진을 찍듯이 이미지로 묶어서 인식하고 기억에 남긴다. 기억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그
                      냥 읽거나 듣기만 했을 때는 정보의 15%가, 그림과 함께 보고 들었을 때는 정보의 80%가 기억
                      에 남는다고 한다. 이를 ‘그림 우월성 효과(picture superiority effect)’라고 한다. 물론 필자처

                      럼 어떻게 해도 금방 잊는 사람도 있지만 말이다.

                      만약 정보를 표시하는 그림의 형태를 단순하게 하고, 핵심이 되는 특징만 함축해서 표현하면
                      두뇌의 정보 처리 단계가 줄어들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다. 글도 길어지면 금방 지루해진다.

                      그래서 필자는 최대한 짧게 핵심만 설명하려고 노력한다.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