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 -
P. 31
구성을 정합니다. 여러 개의 복잡한 구성 요소들이 있을 때는 주 피사체(문)를 가운데에 배치하고 보조 피사체(나무)를
01
측면에 배치하면 안정감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땅의 여백이 많아 주제가 제대로 부각되지 않으므
로 이 부분을 보완해서 다시 촬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 스마트폰일까?
스마트폰 촬영 이론
▲ 단정함이 떨어지고 구성 요소가 복잡한 사진 ▲ 구성 요소가 정돈되어 단정한 사진 사진 보정
배경과 피사체의 여백을 조정합니다. 피사체 쪽으로 더 다가가서 촬영하여 땅의 여백을 줄입니다. 여백을 줄였기 때
02
문에 주제를 부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안정감까지 느껴집니다. 하지만 촬영 당시 무릎을 땅에 대고 올려다보면서 촬 인물 촬영
영하다 보니 건물에 왜곡이 발생했습니다. 여행 · 풍경 · 야경 촬영
▲ 여백의 비중이 커서 주제가 부각되지 않는 사진 ▲ 여백을 조정해서 주제가 부각되고 안정감 있는 사진 꽃·음식·동물·제품 촬영
구도는 시선이 자연스럽게 문 쪽으로 향하도록 배경이 되는 피사체(땅)를 삼각형 구도로 지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셔
03
터 버튼을 눌러 사진을 촬영합니다. 영상 촬영 · 편집
SNS · 유튜브 활용
▲ 스마트폰을 들어 올린 각도로 촬영한 사진 : 건물에 왜곡 발생 ▲ 정자세로 선 채로 눈높이에서 촬영한 사진 사진 관리 · 인화
Chapter 01•추억을 기록하는 여행 사진 촬영하기 165
스맛폰 7.indb 165 2019-09-20 오후 3: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