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P. 23

맨 앞의 비트가 부호를 나타낸다는 사실만 알고 있다면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한 것과 같습
                     니다.

                     여기서 질문을 하나 던지겠습니다. 1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의 크기는 얼마일까요?

                                                      8
                     언뜻 생각했을 때 8비트를 사용하므로 2  즉, 0~255일 것 같지만, 정수에는 음수가 포함되
                     고 맨 앞의 비트를 부호로 사용하므로 표현할 수 있는 양수의 범위는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즉, 1바이트로 나타낼 수 있는 수의 범위는 -128~127입니다(음수를 취급하지 않아 0~255

                     를 나타낼 수 있는 정수 자료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음의 정수를 표현할 때는 방식이 많이 달라집니다. 다음 절에서 컴퓨터가 음수를 저
                     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       음의 정수





                     음수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보수(complement)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수에 대
                     해 알아본다더니 갑자기 웬 보수인가 싶겠지만, 컴퓨터가 음수를 보수 형태로 저장하므로

                     음의 정수가 어떻게 저장되는지 이해하려면 보수의 개념을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7.1   보수의 개념


                     보수란 쉽게 말해 ‘보충해 주는 수’입니다. 예를 들어 10진수에서 9의 보수를 구한다고 가정

                     하겠습니다. 3의 9의 보수는 3을 더해 9가 되는 수인 6입니다. 26의 9의 보수는 73입니다.
                     눈치챘나요? 어떤 수의 각 자릿수 수를 9에서 빼면 9의 보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28   컴퓨터 사이언스 부트캠프 with 파이썬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