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등급A        2  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18.  다음 중 니블(Nibb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이다.                                                                   등급C

               ② 1바이트를 반으로 나눈 4비트로 구성된 단위이다.
               ③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이다.                            21.  다음 중 ‘셀 서식’ 대화상자의 ‘맞춤’ 탭의 각 항목에 대한
               ④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이다.                  설명으로 틀린 것은?
               전문가의 조언
               •니블(Nibble)은 4비트로 구성된 단위입니다.
               • ①번은 비트(Bit), ③번은 바이트(Byte), ④번은 워드(Word)에 대한 설명입니다.

                                                    등급B

               19.  다음 중 빅 데이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이다.
               ② 많은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기술이다.
               ③  스마트 단말의 확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등으로 인해 데이터 폭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④  미래 예측의 활성화로 인해 빅 데이터에 대한 의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의 조언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 예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는 하지만, 빅 데이터에
               대한 의존성을 강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등급A       ①  자동 줄 바꿈 : 텍스트의 길이가 셀의 너비보다 긴 경우

                                                                자동으로 셀의 높이를 변경하여 여러 줄로 나누어 표시
               20.  다음 중 사물 인터넷(Io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다.
               ①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소통하는 정보통신                 ②  셀 병합 : 여러 셀을 선택한 상태에서 ‘셀 병합’을 실행
                 환경을 의미한다.                                      하면 맨 왼쪽 위 셀의 내용만 남기고 모두 지운다.
               ②  스마트 센싱 기술과 무선 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실시간               ③ 방향 : 텍스트의 회전 각도를 지정할 수 있다.
                 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④  셀에 맞춤 : 입력된 데이터의 길이를 셀의 너비에 맞게
               ③  개방형 정보 공유에 대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                 글자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표시한다.
                 보보안 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다.
               ④  통계적 기법, 수학적 기법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방대               전문가의 조언
                 한 양의 데이터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                 ‘셀에 맞춤’은 입력된 데이터의 길이가 셀의 너비보다 긴 경우 셀의 너비에 맞게 글
                 이다.                                          자 크기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데이터의 길이가 셀의 너비보다 넓다고
                                                              하여 글자 크기가 확대되지는 않습니다.
               전문가의 조언
               ④번은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에 대한 설명입니다.


              16 16  01회 2025년 상시01 기출문제                                               정답 18.② 19.④ 20.④ 21.④







                                                                                                     2025. 10. 28.   오후 5:24
          01_2026기출문제집필기_컴활1급01-05(010~093)_ej2.indd   16                           2025. 10. 28.   오후 5:24
          01_2026기출문제집필기_컴활1급01-05(010~093)_ej2.indd   16
   6   7   8   9   10   11   12   13   14   15   16